에너지경제 포토

전지성

jjs@ekn.kr

전지성기자 기사모음




한국기후환경원·세종대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 2023년 상반기 공동 학술대회 개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6.16 14:06

세종대학교 광개토관에서 17일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진행
산업, 기후, 환경 각계 전문가 30여 명이 6개 세션 주제 발표와 토론 나서

clip20230616140107
clip20230616140057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한국기후환경원과 세종대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이 2023년 상반기 공동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17일 오후 1시부터 오후 6시까지 세종대학교 광개토관 613호, 614호, 615호에서 개최되는 이번 행사는 각계 전문가들의 환경, 기후, 산업 관련 특강과 세종대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 졸업생들의 학위논문 발표, 경기도 RE100 추진전략 발표 등 다채로운 세션들이 마련됐다.

△<특별세션 Ⅰ-1> 2006 IPCC 가이드라인 적용 따른 인벤토리 변화 연구 △<특별세션 Ⅰ-2> ESG와 재생에너지 금융 동향 △ <특별세션 Ⅱ-1>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규제 및 LCA △<특별세션 Ⅱ-2>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전력시장의 변화 등 다양한 주제의 세션들은 인벤토리위원회, 기후금융위원회, 전과정평가위원회, 기후에너지위원회 등 한국기후환경원의 전문위원회에서 각각 기획 진행한다. △<특별세션 Ⅲ-1,2>에서는 최근 학위논문과 세종대 기후환경융합센터에서 최근 진행한 8가지 연구 프로젝트의 성과가 발표된다.

김종률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별이 빛나는 삶을 찾아서’, 남준기 내일신문 기자는 ‘지구 생태계를 지키는 탄소중립’ 주제로 특강을 하고, 김연지 경기도 에너지산업과장은 ’경기 RE100 추진전략‘을 발표한다.

이번 학술대회를 기획한 이시형 한국기후환경원 기후인벤토리위원회 위원장(대한상공회의소 탄소중립실 과장)은 "올해는 파리협정에 따라 우리나라도 국가 GHG배출량 산정 기준을 변경해야 하는 등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중요한 시기"라며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과 국가 감축정책 변화를 가늠해볼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의찬 한국기후환경원 원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그간의 국내 기후변화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미래 과제를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라며 "여러 유관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전 세계적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가 당면하고 있는 기후변화, 에너지, 탄소중립 등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과제들에 대해 깊이 있는 대응 방안을 모색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발표 일정(안)

일정 A발표장(613호) B발표장(614호) C발표장(615호)
13:00~13:20 등록 (광개토관 6층  로비)
13:20~14:00 별이 빛나는 삶을 찾아서 지구  생태계를 지키는 탄소중립 -
김종률 환경부 자연보전국장 남준기 내일신문 기자
14:00~16:00 <특별세션 Ⅰ-1> <특별세션 Ⅱ-1> <특별세션 Ⅲ-1>
2006 IPCC 가이드라인 적용 따른 인벤토리  변화 연구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규제  및 LCA 학위논문 발표 및 경기 RE100 추진전략
주 관: 인벤토리위원회 주 관: 기후변화LCA위원회 주 관: 세종대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 원우회
발표1: IPCC 가이드라인과  에너지 분야 인벤토리 관련 연구(안) (강성민 박사,  세종대 기후변화센터) 발표1: 글로벌 자동차업계의 LCA 추진동향
발표2: IPCC 가이드라인과  산업 분야 인벤토리 관련 연구(안) (윤현기 파트장,  에코아이) (유무상 차장, GM KOREA) <학위논문 발표>
발표3: IPCC 가이드라인과  폐기물 분야 인벤토리 관련 연구(안) (이정우 박사,  (㈜KECM) 발표2: 자동차 LCA방법 마련을 위한 국제 동향 (정환수 박사, 국립환경과학원) 1. 탄소중립과 K-RE100 활성화방안 연구 (최인영 대리, 한국에너지공단, 석사 2023.  2. 졸업)
발표4: IPCC 가이드라인과  농업 분야 인벤토리 관련 연구(안) (김승진 박사,  ㈜휴엔릭스) 발표3: 연료원별 자동차 LCA 비교연구 2. 인공지능을 이용한 광산란 미세먼지 측정 방법 신뢰도 향상 연구 (김승진 대표,  ㈜휴엔릭스, 박사 2022. 8. 졸업)
좌장 : 이시형 위원장 (김동규 이사, 스마트에코㈜ 3. 원자력안전 확보를 위한 거버넌스 발전방안 연구(김혜정 前 이사장,  한국원자력안전재단, 박사 2023. 2. 졸업)
토론 : GIR 최형욱 팀장, KRIC 이충국 센터장, SDMI 이준우 실장, 솔루티스 유종익 본부장 좌장 : 김익 위원장 4. LNG복합발전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연구(황은빈 차장,  한국서부발전, 석사 2023. 2. 졸업)
토론 : 녹색교통운동 송상석 위원, 현대자동차 양명환 팀장, LG에너지솔루션 오정훈 팀장, 한국기업평가 염성오 본부장
<경기 RE100 추진전략>김연지  과장, 경기도 에너지산업과, 박사 2015.  8. 졸업
16:00~18:00 <특별세션 Ⅰ-2> <특별세션 Ⅱ-2> <특별세션 Ⅲ-2>
ESG와 재생에너지 금융 동향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전력시장의 변화 기후환경융합센터 세션
주 관: 기후금융위원회 주 관: 기후에너지위원회 주 관: 기후환경융합센터
발표1: 탄소중립의 시대, 에너지.산업이 직면한 대전환의 기회와 위협 (염성오 박사, 한국기업평가  본부장) 발표1: 탄소중립을 위한 전력시장 개선방안(심현보 박사,  전력거래소) 발표1: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의 암모니아 배출계수 개발 및 저감 방안(김고은 연구원)
발표2: 재생에너지 금융 동향  (노재용 박사, 삼성화재) 발표2: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의 의미와 영향(한영배 이사,  한국에너지공단) 발표2: 녹두 영농부산물 소각에 따른 온실가스 및 미세먼지 배출계수  개발(송새눈 연구원)
발표3: Tier 3 자료 수집에 따른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우지윤 연구원)
발표4: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계수 대표성 확보  방안 연구(강성민 박사)
발표5: LCA에 의한 수소에너지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조승현 연구원)
발표6: 부생가스 발전시설의 CH4 배출계수 연구(김수빈 연구원)
발표7: LMDI 요인분해분석을 활용한 국내 정유업계의 온실가스  배출 특성 연구(유재호 연구원)
발표8: 기초지자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방안 연구 서울특별시 광진구를 중심으로- (이승현  연구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