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에너지 수요 분산 세미나] "디지털시대 맞춰 지역산업 업그레이드…점진적 외부 자원 유인해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5.23 16:08

송인호 KDI 경제정보센터소장, '지역소멸 방지 및 경제 활성화 정부 역할' 주제발표



"대형 산업시설 비수도권 이전 여전히 어려워…지역 산업 다각화, 제조업 위주 추진돼"

21송인호-IMG_4618

▲송인호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소장이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에너지 수요 분산 정책 필요성과 과제 세미나’에 참석, ‘지역소멸 방지 및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 송기우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지역의 데이터센터 유치를 위해 인센티브가 유일한 문제 해결 방안이 아닙니다." "산업다각화와 집적효과 등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송인호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소장이 한무경 국민의힘 국회의원(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여당 간사)과 에너지경제신문이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공동 주최한 ‘에너지 수요 분산 정책 필요성과 과제 세미나’에 참석, ‘지역소멸 방지 및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송 소장은 지역소멸을 막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에너지 수요 분산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단순히 전기를 많이 소비하는 기업과 데이터센터가 지방으로 이전하는 게 아닌 지역의 서비스업 육성 등 여러 산업과 연계를 이끌어야 에너지 수요 분산이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송 소장은 "정부는 수도권 기업이 대형발전소가 있는 지방으로 이전하도록 맞춤형 입지 공급과 정주여건 개선, 재정·세제 혜택 등 범부처 추진체계를 운영하고 있다"며 "이전 기업에 전기요금의 할인 등 지역 산업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도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데이터센터를 비롯한 대형 산업 시설의 비수도권 이전을 위한 인센티브 도입, 시설 부담금 할인, 예비전력요금 일부 면제를 고려하나 여전히 어렵다"고 밝혔다.

그는 인센티브만으로는 데이터센터 유치 등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지방 이전이 어렵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송 소장은 "우리나라 산업 재편은 이미 경제적으로 우월한 지역을 중심으로 다각화를 심화시키는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지역들도 산업 다각화 방향으로 지역 발전을 시도하고 있으나 제조업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수도권 인구가 2596만명으로 비수도권 인구인 2582만명을 통계 생성 이후 처음으로 넘기 시작했다.

수도권의 경제력 집중 현상도 심화돼 지난 2017년 이후부터 수도권의 지역 내 총 생산(GRDP) 비중이 전체 지역 GRDP의 50%를 넘었다

송 소장은 "지역 인구를 늘리는 건 불가능해 보인다"며 "지역 인구가 주는 속도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역내 총생산이 타 지역에 비해 높은 도시라고 할지라도 서비스업의 다양성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를 발견할 수 있다"며 "이들 지역은 서비스 부분의 전문화로 추가적인 성장동력을 얻을 수 있다. 갑작스럽게 신산업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무리한 투자를 하기보다는 산업을 디지털시대에 맞게 업그레이드 하면서 점진적으로 외부의 자원을 유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wonhee454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