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앙-지방 에너지효율 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정부가 에너지절약 운동을 지방자치단체로 확대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창양 장관 주재로 17개 광역자치단체가 참석하는 중앙·지방 에너지 효율혁신 협의회를 개최했다.
이 장관은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세계 에너지 위기의 여파가 대규모 무역적자와 고물가, 환율 등 여전히 국내경제 전반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산유국의 원유 감산조치 발표, 중국 경제활동 재개 등으로 인해 올해에도 국제 에너지 가격은 변동성이 높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장관은 "녹록지 않은 대내외 여건 속에서 지난해 한 해 국가 에너지 사용량과 에너지 원단위가 모두 개선됐다"며 "전방위적인 절약, 효율개선 정책, 요금 현실화 등이 실제 에너지 소비 절감과 효율 향상 성과로 어느 정도 이어졌다"고 말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경제활동과 일상생활이 회복되면서 지난 2021년 에너지 소비량은 2020년 대비 6.2% 증가했지만, 지난해에는 경제 회복세가 지속되는 가운데에서도 에너지 소비량이 오히려 1.5% 감소했다.
이 장관은 "이런 성과는 겨울철 공공기관의 에너지 절감, 산업·건물 효율 개선, 취약 계층 난방비 지원 등 지자체의 노력이 없었다면 달성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이번 기회에 보다 강도 높은 에너지 효율혁신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에너지 절약과 효율혁신을 위해 ‘하루 1킬로와트시(kWh) 줄이기’ 캠페인을 전국으로 확산하고 각 지자체와 취약계층에 대한 에너지 복지 지원 협력도 강화할 방침이다.
에너지 다소비 기업이 다수 위치한 전남과 충남, 울산, 강원, 충북을 중심으로 기업의 효율투자 활성화를 유도한다.
대형건물이 밀집한 수도권과 주요 광역시와는 건물 에너지 효율관리 협력을 강화한다.
등유·액화석유가스(LPG) 난방비 지원, 에너지 바우처, 저소득층 에너지 효율개선 사업 등 현재 추진 중인 에너지 복지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중앙 정부와 지자체·유관기관 간 협조체계를 구축한다.
복지 지원 대상자가 신청 자격 여부와 절차·방법 등을 몰라 신청하지 못하는 사례가 없도록 홍보·안내도 강화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지역별로 특색 있고 내실 있는 에너지 효율혁신과 절약 대책이 지속적으로 발굴되고 이행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지자체와의 협조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알렸다.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