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정부, 서해 해상 송전망 건설 추진…호남권 남는 신재생 전력 수도권 공급 목적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4.14 13:57

산업부, 공기업·민간 전문가 등 참석 전력망혁신전담팀 첫 회의 개최
동해안~수도권 육상 송전선로 준공 시까지 송전제약 방안도 논의
천영길 "패러다임 혁신적 전환하는 새로운 정책 조만간 수립할 것"

clip20230414112144

▲천영길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실장이 14일 서울 종로구 석탄회관에서 열린 ‘전력망 혁신 전담팀(TF) 1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정부가 지방에서 생산한 전력을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해 서해 해상 송전망 건설 등 전력망 구축 방안을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서울 종로구 석탄회관에서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 주재로 공기업·공공기관, 민간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력망 혁신 전담팀(TF) 1차 회의를 개최했다.

산업부는 첨단사업에 대한 안정적 전력공급에 대응하기 위해 재생에너지-전력계통 TF를 전력망 혁신 TF로 확대 개편했다.

회의에서는 지난 1월 발표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한국전력의 전력망 보강 계획인 ‘제10차 장기 송·변전 설비계획’을 중심으로 전력계통 관련 현안 및 대응 방안이 논의됐다.

현재 수립 중인 장기 송·변전 설비계획에 따르면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확대, 전력수요 증가, 발전력과 수요의 집중 지역 차이 등으로 인해 송·변전 설비 보강이 대폭 필요한 실정이다.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집중된 지역(호남권)은 봄·가을처럼 전력 소비가 적은 기간에 남는 전력을 전력 수요가 많은 지역(수도권)으로 전송해야 하는데, 두 지역을 연결하는 송전선로가 극히 부족하다고 지적됐다.

이에 따라 이날 회의에서는 서해 해상을 활용해 호남권과 수도권을 연결하는 송전선로를 건설하는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육상에 전력망을 건설하는 일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현재 제주에서 전남 지역(해남·진도)을 잇는 해상 송전선로가 있으나 소규모이며, 전력 수요가 가장 높은 수도권까지 이어지는 해상 광역 송전망은 전무하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이날 회의에선 동해안 지역과 수도권 지역을 잇는 육상 송전선로 준공 시점(1단계 2025년 6월·2단계 2026년 6월)까지 발생할 수 있는 송전 제약의 완화방안도 논의됐다.

천영길 실장은 "정부는 전력망 투자를 최적화하고 송·변전 설비 건설이 적기에 이행될 수 있도록 그간의 패러다임을 혁신적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정책을 조만간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논의 내용은 향후 전기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


wonhee454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