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소진

sojin@ekn.kr

윤소진기자 기사모음




에픽게임즈 "순수익 40% 창작자에게…오픈 메타버스 생태계 구축"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4.07 16:41

전세계 유저 5억명 '포트나이트' 수익금, 참여도 기반 재분배
"UEFN로 손쉽게 콘텐츠 개발·배포…강력보상으로 참여유도"

에픽

▲박성철 에픽게임즈 코리아 대표가 7일 오전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사업 성과와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에픽게임즈가 자사 게임 ‘포트나이트’의 순수익 40%를 창작자에게 재분배한다. 에픽게임즈가 추구하는 개방적이고 연결된 메타버스 생태계 구축을 위한 포석을 마련하겠다는 취지다.

7일 에픽게임즈는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언리얼 엔진의 최근 성과 및 메타버스를 위한 새로운 크리에이터 툴, 포트나이트 언리얼 에디터(UEFN)를 포함한 신기술과 비전을 소개했다.

특히 에픽게임즈의 메타버스 에코시스템을 위한 차세대 경제 모델인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2.0’이 공개됐다. 앞으로 에픽게임즈는 포트나이트 아이템 상점 등에서 발생한 순수익의 40%를 유저들의 참여도에 비례해 콘텐츠를 창작한 크리에이터들에게 현금으로 지급할 예정이다. 이러한 참여 기반 수익금은 인디 크리에이터가 제작한 섬뿐만 아니라 배틀로얄과 같은 에픽의 자체 콘텐츠까지 포함해 지급된다.

포트나이트의 유저 총수는 5억명 이상이며, 플레이어들은 이미 전체 포트나이트 플레이 시간 중 40% 이상을 사용자 창작 콘텐츠(UGC)에서 보내고 있다. UEFN에 크리에이터로 동참할 경우, 효과적인 창작 툴을 이용해 누구나 자신의 원하는 콘텐츠와 경험을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참여 기반 수익금’까지 얻을 수 있다. 신규 크리에이터 툴 UEFN은 크리에이터 또는 개발자가 언리얼 엔진 5의 강력한 툴과 워크플로를 손쉽게 활용해 포트나이트에 콘텐츠를 제작하고 퍼블리싱할 수 있는 새로운 언리얼 에디터다.

박성철 에픽게임즈 코리아 대표는 "강력한 툴은 다 만들었는데, 그에 능가하는 유례없는 보상 정책이 없으면 이용자들이 뛰어들지 않을 것 같았다"며 "많은 제작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공격적인 보상 정책을 내놓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달 열린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GDC)에서 이 같은 보상정책을 발표하자마자 유튜브에서 유명 크리에이터들이 바로 ‘포트나이트’ 개발팀을 꾸리겠다는 모습도 나오더라"며 "이제 아이디어만 있으면 UEFN을 이용해 누구나 게임을 손쉽게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게 됐다. 참여가 많으면 많을수록 공정한 메타버스 생태계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질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에픽게임즈는 이날 신규 프로그래밍 언어인 ‘벌스’, 현재 알파 플러그인으로 UEFN 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에픽의 통합형 멀티플랫폼 마켓플레이스인 ‘팹’도 공개했다.

한편, 에픽게임즈는 이날 언리얼 엔진과 스토어 부문의 국내 성과도 발표했다. 에픽게임즈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모바일 게임 톱 10의 총매출 중 53%를 언리얼 엔진으로 제작된 게임이 차지했다. 또 현재까지 파악된 언리얼 엔진 게임 프로젝트는 60개 이상으로, 이 중 70% 이상은 언리얼 엔진 5를 사용하고 있거나 전환 중이라는 설명이다.

에픽게임즈의 스토어 부문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셀프 퍼블리싱 툴’ 및 스토어가 현재까지 달성한 성과를 공개했다. 작년 에픽게임즈 스토어 PC 이용자는 2억 3000만명으로 1년 새 3600만명 증가했다. 작년 스토어 매출도 전년 대비 18% 증가한 3억5500만달러(약 4683억원)를 기록했다.

KakaoTalk_20230407_153559685

▲신규 툴 ‘UEFN’을 시연하는 모습. 사진=윤소진 기자


sojin@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