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명시 시민- 시민단체 ‘구로차량기지 광명이전 반대’ 동시다발 1인시위. 사진제공=광명시 |
공동대책위원회는 광명시민과 광명경실련, 광명YWCA, 광명YMCA 등 8개 단체로 구성된 광명시민단체협의회와 14개 협조단체 등으로 구성된 연대체로, 2019년부터 구로차량기지 이전사업 문제점을 시민에게 적극 알려왔다. 3월7일 국회에서 구로차량기지 이전 반대 1인시위에 참여한 이후 14일까지 국회, 용산 대통령실, 구로구청,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정문 앞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반대 시위를 진행했다.
박철희 공동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은 "구로차량기지 이전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 과명시민이 아직 너무도 많다"며 "정규노선도 아닌 20분 간격 셔틀 노선을 실질적으로 1개 전철역만 받고 친환경 지하화도 없이 차량기지를 이전한다면 광명시는 영구적인 피해를 보고, 수도권 대표도시가 될 수 있는 기회까지 포기하는 최악의 실패로 후손에게 기억될 것"이라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허정호 광명시민단체협의회 운영위원장은 "구로차량기지 이전 문제는 서울시 구로구민 민원을 해결하기 위해 광명시민과 앞으로 광명시에 살아갈 미래 세대에 큰 짐을 떠넘기는 것"이라며 비판했다.
광명시민은 구로차량기지 소음과 공해 문제를 광명시가 왜 떠안아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영구적인 피해가 명약관화한데 이론적인 경제적 타당성만을 핑계로, 광명에 충분한 보상 없이 이 사업을 추진한다면 과연 누가 납득할 수 있겠냐는 입장이다. 특히 지방자치시대에 지자체가 반대하는 사업을 정부가 강행한다는 사실이 과연 있을 수 있는 일인지 믿기 어렵다고 시민 대다수는 성토했다.
광명 환경 변화도 시민이 반대하는 이유 중 하나다. 광명시흥신도시와 광명시흥테크노밸리, 하안2지구 등 각종 개발계획이 예정된 지금 광명시는 구로차량기지 이전사업이 최초 계획된 2005년 광명과는 완전히 다르게 수도권 서남부의 중심 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한편 광명시민단체협의회는 세계 물의 날(3월22일)에도 구로차량기지 이전 반대 기자회견을 열어 86만명 경기도민에게 식수를 공급하는 노온정수장이 차량기지 예정지에서 불과 250m 거리에 있어 차량기지 분진으로 인해 시민건강권이 위협받고 있다는 사실을 시민에게 적극 알릴 계획이다.
kkjoo0912@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