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성우창

suc@ekn.kr

성우창기자 기사모음




[IPO 열전] 에스바이오메딕스 "블록버스터 세포치료제 개발...4월 코스닥 상장"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3.08 19:08

2023030801000429700019521

▲강세일 에스바이오메딕스 대표이사가 8일 개최된 IPO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에스바이오메딕스


[에너지경제신문=성우창 기자] 에스바이오메딕스가 오는 4월 코스닥 시장 상장을 계기로 글로벌 회사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강세일 에스바이오메딕스 대표이사는 8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공모를 통해 모집한 자금을 임상에 투자해 난치성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와 가족에 희망을 주고 투자자에는 ‘블록버스터 세포치료제’라는 성과로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에스바이오메딕스는 기존 세포치료제의 한계를 뛰어넘는 ‘질환특이적 세포치료제’를 연구개발하고 있다. 2개의 원천 플랫폼 기술 중 TED(국제 표준화 배아줄기세포 분화 기술)는 질환 특이적 세포를 안전하게 고효율로 분화시킬 수 있으며, FECS™(3차원 기능성 스페로이드 구현 기술)는 기능이 강화된 세포로 구성된 스페로이드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8개의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 TED-A9(파킨슨병치료제), TED-N(척수손상치료제), FECS-Ad(중증하지허혈치료제), FECS-DF(눈가주름 개선), 큐어스킨(함몰 여드름 흉터 치료제) 5개는 임상 단계에 있다.

에스바이오메딕스가 임상 성공에 자신감을 보이는 이유는 견고한 기술력에 있다. 2가지 원천 플랫폼 기술, 핵심 및 파생 파이프라인과 관련해 국내를 비롯한 미국·유럽·일본 등 글로벌 핵심 바이오 마켓에 총 132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그 중 87건을 등록 완료했다. R&D 과정에서 강력한 기술 지적재산권(IP)을 창출함으로써 권리를 획득하고, 추후 기술 수출 가능성도 모색하고 있다.

강세일 에스바이오메딕스 대표는 "중증하지허혈, 척수손상, 파킨슨병 등 핵심 파이프라인 연구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얻었다"며 "전세계 최초 줄기세포 스페로이드를 이용한 중증하지허혈치료제는 임상 2a상으로 기존 성체세포치료제보다 혈관 재생, 염증 억제, 통증 감소 효능이 월등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배아줄기세포유래 척수손상 치료제는 미국 바이오기업 이래 전 세계 두 번째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고, 앞선 동물실험에서 PSA-NCAM 양성 신경전구세포 이식에 따른 운동기능 개선과 감각 및 운동유발 전위 개선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아시아 최초 임상승인’ 타이틀을 거머쥔 배아줄기세포 유래 파킨슨병 치료제에 대해서는 "고수율 A9-DPC(도파민 신경전구세포)의 생성 및 대량 생산 능력을 확인했으며, 해당 세포 이식 결과, 영장류 모델에서 대조군 대비 도파민 활성도 개선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는 등 파킨슨병 치료 효과를 검증한 바 있다"며 "당사 포함 전 세계 3개 그룹만이 파킨슨병 특이적 A9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에스바이오메딕스는 중장기적으로 핵심 파이프라인의 성공적인 임상 개발을 통해 국내 상용화 및 해외 기술사업화(라이선싱)를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단기적인 수익 창출은 미용·성형·의약품 및 의료기기를 연구·개발하는 자회사 에스테팜을 통해 실현하고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자체 생산 HA(히알루론산) 필러를 포함해 제품의 실질적인 제조부터 상용화까지 인하우스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어 국내 1500개 이상의 거래병원과 해외 25개국 등 글로벌 유통망을 통해 지속적인 매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에스테팜의 작년 기준 매출액은 120억원이다.

에스바이오메딕스의 총 공모주식수는 75만주, 공모예정가는 1만6000원~1만8000원이다. 밴드 상단 기준 총 공모금액은 135억원, 예상 시가총액은 1979억원이다. 상장예정 주식수는 1092만2276주다. 당초 이날부터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수요예측을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오는 28~29일로 변경했다. 바뀐 청약예정일은 내달 3~4일이다. 대표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다.


suc@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