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팀은 피부과 의사들이 관리하는 피부병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피부병을 파악하는 딥러닝 모델을 개발했다. 개발된 인공지능 모델은 피부질환이 있는 환자가 어떠한 피부질환(여드름, 아토피 등)과 관련이 있는지 파악하는 데 획기적인 결과를 보였다.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안드로이드 앱도 구현했다.
연구팀은 초대형 피부병 데이터베이스인 덤넷(DermNet)에 게시된 15,851개의 사진을 사용하였으며, 합성곱 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딥러닝 탐지 및 분류 모델을 활용했다. 기타 피부질환의 경우에도 최저 65% 이상의 확률로 예측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피부질환의 심각성을 파악할 쉬운 방법이 필요하다. 스마트폰을 활용해 피부질환을 조기에 예측하고 치료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이 연구는 최근 정보화시대의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윤리적 논쟁을 고려하여 IRB 승인절차를 통해 엄격한 관리 하에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Nature Publishing Group의 Scientific Reports에 3.5(금) 온라인 게재되었다.(논문명 : AI-based local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skin disease with erythema)
![]() |
▲ 인공지능 기반 분류 모델 구조 (이미지=성균관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