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카닷컴 설문조사 결과 이미지 |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엔카닷컴은 ‘내 차 팔 때 가장 선호하는 방법은?’이라는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소비자 49%가 ‘중고차 거래 앱·사이트’를 선택했다고 27일 밝혔다.
엔카닷컴은 내차팔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생각을 알아보고자 이번 설문조사를 기획했다. 지난 6일부터 18일까지 진행한 이번 설문에는 503명 소비자가 참여했다.
먼저 ‘차를 팔 때 가장 선호하는 방법’에 대한 질문에는 49%가 ‘중고차 거래 앱/사이트’를 선택했다. ‘소개받은 신차, 중고차 딜러에게 직접 판매’는 24%, ‘온-오프라인을 통해 직거래’는 16%, ‘아는 사람에게 판매 또는 양도’는 11%에 불과해, 차를 파는 문화가 이제 ‘발품’에서 ‘손품’ 시대로 완전히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중고차 거래 앱/사이트의 장점’을 묻는 질문에는 ‘실시간 견적으로 내 차 최고가 확인’을 선택한 소비자가 43%로 가장 많았다. 실제 과거에는 판매한 차 가격이 적정한지 소비자들이 확인하기 어려웠지만, 최근에는 중고차 앱/사이트를 통해 가격 확인이 가능해졌다.
21%는 ‘판매까지 빠른 진행’, 18%는 ‘간편한 매물 등록’이라고 답했으며, 그 뒤로는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거래(7%)’, ‘서비스 또는 브랜드 신뢰도(6%)’, ‘믿을 수 있는 제휴 딜러(5%)’ 순이었다.
이 밖에 ‘차를 팔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묻는 추가 질문에는 ‘높은 가격’을 선택한 응답자가 49%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빠른 시간 판매’가 21%, ‘간편한 판매 과정’을 선택한 응답자는 18%였다. ‘서비스 또는 브랜드 신뢰도(7%)’, ‘구매자 매너(5%)’의 답변도 뒤를 이었다.
엔카닷컴 사업총괄본부 박홍규 본부장은 "이번 설문을 통해 내차팔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생각들을 알 수 있었다"며 "소비자들이 더욱 편리하게 차를 판매할 수 있도록 ‘엔카 비교견적’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단독] 국토부, UAM 상용화 핵심 ‘버티포트’ 직접 짓는다](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51026.ae016a500e474bada6c3602f959d5b22_T1.png)


![[공시] 씨아이테크, 21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시설·운영자금 확보 목적](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51027.bbd1984dacd3455597d3e6d5f084f332_T1.png)

![[마감시황] 코스피 사상 첫 4000 돌파…‘10만전자’ 앞세워 사천피 시대 개막](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51027.56f91d7550cf4ecaac3c77198eb625a2_T1.jpg)




![[EE칼럼] 기후리더십은 희생이 아니라 성장 전략이다](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40520.349b4b88641c421195241a2980f25719_T1.jpg)
![[김성우 시평] ESG, 위기를 돌파하는 아시아의 새 해법](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40324.49bb7f903a5147c4bf86c08e13851edc_T1.jpg)

![[이슈&인사이트] 캄보디아만 탓할 일인가](http://www.ekn.kr/mnt/thum/202510/news-a.v1.20241109.b66efaf66a144273bc45695d05163e00_T1.jpg)
![[데스크 칼럼] 이커머스 정산주기 단축, ‘선의의 규제’가 초래할 역풍](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50105.00106f8496ba40f5af6df3babd4ef03c_T1.jpg)
![[기자의 눈] 코스피 4000, 레버리지와 인버스가 함께 웃는 이상한 장세](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51027.b79b984b357646db9766af625f8c50af_T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