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에스더

ess003@ekn.kr

박에스더기자 기사모음




정선아리랑센터 ‘뗏꾼’ 공연, 피서객 발길 사로잡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04 08:04

전국 각지에서 몰린 관람객들… 생생한 연주와 몰입감 있는 연출에 호평
이리랑촌서 1일~3일까지 ‘2025 월드아르떼페스티벌 with 정선아리랑’ 성료

정선아리랑 토요상설공연 '뗏꾼“

▲정선을 찾은 피서객들이 2일 정선아리랑센터 아리랑홀에서 소리극 '뗏꾼' 공연을 보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박에스더 기자

정선=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여름 휴가철을 맞아 정선을 찾은 피서객들이 정선아리랑센터의 대표 상설공연 '뗏꾼'에 큰 호응을 보내고 있다. '뗏꾼'은 매주 토요일 오후 2시 아리랑센터 아리랑홀에서 열리며, 정선의 역사와 문화를 무대로 옮긴 창작공연이다.


공연은 막이 오르자마자 전통악기의 깊이 있는 울림으로 시작돼 관객들의 집중을 이끌었다. 이후 주요장면마다 현장에서 연주되는 음악이 극의 긴장감과 정서를 극대화하며 몰입도를 한층 높였다. 단순한 배경음악을 넘어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장면은 '뗏꾼' 공연의 큰 매력으로 손꼽힌다.


소리극 '뗏꾼'은 일제강점기 시대를 배경으로 정선에 실존했던 인물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재창작했다. 황장목을 떼목으로 엮어 경성까지 운반하던 정선의 뗏꾼들을 소재로 독립군에게 금괴를 은밀히 전달하는 비밀 임무까지 맡으며 긴장감 있는 스토리를 더했다. 특히 현장에서 직접 전통악기를 연주하며 분위기를 고조시켜 관객들의 몰입도를 높였다.


2일 공연에는 제주도, 금산, 남양주 등 전국 각지에서 정선을 찾은 방문객들이 객석을 가득 메웠다. 금산 출신 중학교 2학년 학생은 “뮤지컬은 여러 번 봤지만 현장에서 직접 악기를 연주하는 건 처음이다. 현장감이 정말 대단했고 감동도 훨씬 더 컸다"고 말했다.


한편, 일부 관객은 스토리 구성에 아쉬움을 표하기도 했다. 한 관람객은 “독립운동 서사에 몰입하게 되긴 했지만 정작 뗏꾼이라는 직업의 애환이나 위험천만한 떼목 운반의 고단한 현실은 다소 부족하게 표현된 점이 아쉽다"고 평했다.




뗏꾼 공연 입장료는 5000원으로 관람 후 전액을 정선아리랑상품권으로 환급받을 수 있다. 이 상품권은 정선군 내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장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작지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


'2025 월드아르떼페스티벌 with 정선아리랑'

▲'2025 월드아르떼페스티벌 with 정선아리랑'에 참가한 인도전통무용팀. 박에스더 기자

이번 주말에는 '뗏꾼' 공연 외에도 정선 아리랑촌 일대에서 1일부터 3일까지 열리는 '2025 월드아르떼페스티벌 with 정선아리랑'이 함께 진행돼 더욱 풍성한 볼거리를 선사했다. '예술로 하나되는 지구촌'을 주제로 열린 이번 페스티벌 메인아레나에서는 세계 20여 개국 예술단이 참여한 퍼레이드와 무대 공연이 펼쳐졌다. 다양한 국악 융합 콘텐츠와 아리랑 창작 공연, 예술 체험 부스도 함께 운영됐다.


타악 퍼포먼스팀

▲2일 '뗏꾼' 공연을 관람한 방문객들이 타악 퍼포먼스팀의 타악연주에 이끌려 아리랑촌에서 1일부터 3일까지 열리고 있는 '2025 월드아르떼페스티벌 with 정선아리랑'에 참여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박에스더 기자

뗏꾼 공연을 관람하고 나온 방문객들은 타악 퍼포먼스팀의 힘찬 연주에 이끌려 자연스럽게 아리랑촌으로 이동해 페스티벌을 즐겼다. 이들은 한국 내에서 활동 중인 스트릿 타악연주팀으로 녹색유니폼을 입고 다양한 드럼과 퍼커션 악기를 연주했다.


뗏꾼 공연과 페스티벌을 즐긴 방문객은 “정선의 역사와 문화를 무대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연과 축제를 함께 즐길 수 있어 좋았다. 공연과 지역문화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정선형 공연 콘텐츠가 앞으로도 꾸준히 선보이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뗏꾼' 공연은 오는 11월 22일까지 매주 토요일 계속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