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정희순

hsjung@ekn.kr

정희순기자 기사모음




[기자의 눈] 중저가 단말 라인업 늘면 가계 통신비 정말 줄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0.30 13:41
정희순

▲정희순 산업부 기자. hsjung@ekn.kr

[에너지경제신문=정희순 기자] 올해도 어김없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는 가계통신비 부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다만 예년과는 달리 ‘통신요금 인하’에 대한 요구보다는 단말기 가격을 잡아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른 바 ‘폰플레이션’. 휴대전화 기기 값의 가파른 상승을 의미하는 신조어다. 올해 삼성전자와 애플의 스마트폰 신제품 출고가는 3년 전과 비교해 각각 17.3%, 15.2% 올랐다.

이번 국감에서 폰플레이션의 해법으로 거론된 것 중 하나는 중저가 단말기의 보급 확대다. 국회의 잇단 질타에 일단 삼성전자는 중저가 단말기 확대에 힘쓰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황. 그런데 정말 중저가 단말 확대로 가계통신비를 잡을 수 있을까.

이를 바라보는 통신업계 시각은 엇갈린다. 대형 이동통신사는 "중저가 단말은 어차피 수요가 없다"며 회의적인 입장인 반면, 알뜰폰 업계에선 "당연히 도움이 될 것"이라며 환영하는 분위기다.

이통사 관계자는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폰은 국내에서 잘 안 팔린다"며 "중저가 단말기 수를 늘린다고 해서 일반 소비자들이 그 제품을 선택할지는 잘 모르겠다. 일반 소비자들이 중저가 단말 확대에 따른 통신비 절감 효과를 체감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알뜰폰 관계자는 "중저가 단말기에 알뜰폰 요금제를 붙이면 가계 통신비가 획기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며 "중저가 단말기 라인업이 확대되면 알뜰폰 요금제 수요도 자연스레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이번 국감을 바라보며 가장 아쉬웠던 점은 정작 고가 단말기 가격에 대한 해법을 찾지는 못했다는 점이다. 진짜 때려잡아야할 통신 물가는 플래그십 단말의 출고가인데, 정부가 내놓은 대책은 핵심은 건드리지 못한 채 언저리만 맴돌았다. 가계통신비 부담의 주범으로 몰렸던 SK텔레콤이 올해만 45종의 신규 요금제를 내놨다는 점을 상기하면 짠하기까지 하다.

삼성전자는 해외에서만 판매하던 리퍼폰(반품된 정상제품이나 초기 불량품, 전시품, 중고제품 등)도 국내에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중고폰 인증제 도입을 추진하고, 국회도 관련법 마련에 힘을 쏟는다. 중저가폰 확대와 중고폰 확대 정책이 얼마나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hsjung@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