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병용 GS건설 대표이사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 일반증인으로 참여해 발언하고 있다. 국회 방송 유튜브 갈무리 |
1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임 대표는 지난 10일 오후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 일반증인으로 출석해 ‘전면 재시공하고 모든 보상을 다하겠다는 계획이 이뤄지고 있느냐’라는 맹성규 의원(더불어민주당) 질의에 "사고 이후에 여러가지 처리할 일들이 많다보니 아직 충분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면서도 "계획대로 재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GS건설은 지난 7월 "아파트 단지 전체를 전면 재시공하고 입주 지연에 따른 모든 보상을 다 할 것"이라고 공식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함께 증인으로 나온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 역시 같은날 "GS건설과 충분히 협의해 GS건설 약속대로 진행되고 있느냐"는 질문에 "현재 충분한 진전은 없는 상태"라고 답했다.
하지만 전면 재시공이 속도를 내지 못하는 상황에 대해 맹 의원은 "양쪽 다 이견이 있다"며 GS건설과 LH를 함께 질타했다. 그는 "두 기관 간 힘겨루기를 해서 해결이 안 되고 있다. 국토부가 나서서 조정해주지 않으면 두 기관 간 힘겨루기 하다가 해결책이 나올 수 없다. 국토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해결책 찾아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에 이 사장은 "GS건설과 LH는 이견이 있을 수 없다"고 답했다.
앞서 이 사장은 전날 국감에서 "LH가 잘못이 있다면 공공기관이 책임을 피할 이유가 없다"며 "그러나 설계책임 문제는 법상, 계약서상 모든 게 시공사인 GS건설이 설계도 책임을 지도록 분명히 명시돼 있다"고 한 바 있다. 이어 "이유불문하고 시행청의 대표로서 입주자분들께 진심으로 송구스럽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GS건설과 최대한 노력해서 입주 예정자들이 불편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임 부회장은 전날 국감에서 해당 아파트의 17개 주거동 가운데 3개 동이 재건축 아파트 수준인 안전성 평가 D등급을 받은 데 대해서는 ‘문제가 있다’고 인정했다.
임 부회장은 ‘새로 지은 건물에 B·C등급도 말이 안 되는데 D등급이 있었다는 것은 상당한 문제가 있었다는 것’이라는 박정하 국민의힘 의원의 말에 "그 사실에 대해 인정한다"며 "다만 피해자분들에게 보상하는 데 있어서 장애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대답했다. zoo100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