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신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한국전력공사 사장 취임의 가시화로 한전의 5개 발전 자회사인 한국남동·남부·동서·서부·중부발전 사장단의 거취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방문규 후보자는 오는 13일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있으며, 김동철 한전 신임 사장 내정자는 오는 18일 주주총회에서 최종 선임이 결정될 전망이다.
6일 관가에 따르면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두 인사 모두 임명이 확실시되고 있다.
5개 발전 자회사 사장단은 지난 2021년 4월에 취임, 내년 4월까지 7개월 가량의 잔여임기가 남은 상태다. 같은 시기 취임했던 정승일 전 한전 사장은 극심한 경영난 끝에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지난 5월 퇴임한 바 있다. 이에 자회사 사장단들도 국정감사 이후 내년 4월 총선 전까지 거취를 정할 것으로 관측됐다.
관가와 업계에서는 신임 산업부 장관과 한전 사장 모두 지난 정부 내내 유지됐던 ‘산업부 출신’ 공식을 깬 만큼 차후 5개 발전자회사 사장단 인사에도 이같은 기조가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정권 교체 후 다른 주요 에너지공기업인 한국수력원자력(교수), 한국가스공사, 지역난방공사(정치인)도 산업부 출신 공식이 적용되지 않았다. 현재 5개 발전자회사 사장단은 동서발전을 제외하고는 모두 산업부 고위관료(남부), 한전 부사장(남동·서부), 발전자회사(중부) 출신이다.
현재 산업부와 한전을 둘러싼 키워드는 ‘개혁·구조조정’으로 꼽힌다.
방문규 산업부 장관 후보자는 후보 지명 후 막대한 한전 부채에 따른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에 대해 "필요한 부분은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한전도 신임 사장 공모자격에 ‘경영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개혁 지향적 의지와 추진력 가지신 분’이라고 명시한 바 있다.
한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사실 지금 한전의 위기는 장관과 사장이 바뀐다고 크게 달라질 부분은 없다"면서도 "그럼에도 임기가 남은 수장들을 교체하는 이유는 대통령실에서 공직사회에 정부의 방침을 따르라는 명확한 시그널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강경성 산업부 2차관은 윤 대통령이 지난 5월 "탈원전 정책에 애매한 스탠스를 보인 사람은 인사조치 하겠다"고 한 다음날 임명됐다. 당시 윤 대통령은 "강 위에서 배를 타고 가는데 배의 속도가 너무 느리면 물에 떠 있는 건지, (배가) 가는 건지 모른다"며 "속도가 더 나야 변화를 체감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여당에서도 박대출 정책위의장이 기관장들에 대해 "국정 발목잡기가 도를 넘었다. ‘문(문재인 전 대통령)의 직장’은 철밥통 사수권에 국정방해권까지 부여받은 건지 궁금하다"며 "새 정부가 일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게 상도의다. 국정철학이 다르면 함께 일하기 불편할 터이니 자리를 비워주고 맘 편히 지내시길 권한다"고 노골적으로 물러나라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이에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현재 잔여 임기가 1년 여 정도 남은 기관장들의 거취가 주목을 받아왔다.
특히 지난 총선에 도전한 바 있는 김영문 동서발전 사장의 경우 1월 초 사퇴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선거 공정성 위해 특정 지위나 신분을 가진 사람은 선거일의 일정기간 전에 사직하도록 하고 있다. 과거 사례를 보면 총선에 출마한 공공기관장들은 통상 3개월 전에는 퇴임했다.
공공기관 인사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역대로 정부가 바뀐 뒤 산업부 장관과 한전 사장까지 교체된 뒤로 발전 공기업 사장이 자리를 유지한 경우는 거의 없었다. 특히 공기업 사장이나 감사는 정부의 국정 철학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자리인 만큼 전 정부 출신은 물러나고 길을 열어주는 게 맞다"면서도 "다만 에너지위기가 계속되고 있는 만큼 정권을 떠나 잔여임기까지 책임감을 가지고 조직 안정화에 힘쓸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jj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