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이 30일 오후 10시30분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이관섭 국정기획수석에게 질의하고 있다. |
김 의원은 30일 자정까지 이어진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이관섭 수석에게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 방류에 따른 국민들의 우려와 걱정을 하시는 점을 잘 알고 있다. 특히 사회의 암적 존재인 가짜뉴스 선동으로 혼란이 더 커지고 있다"며 "목표MBC는 지난 24일 뉴스에서 후쿠시마 방류를 다루는 기사리포트에서 강모씨를 어민으로 출연시켜 피해를 호소했다. 그런데 이 강모씨라는 분은 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신안군 의원에 출마한 정치인이다. 이런 무책임한 보도행태와 직업윤리를 어떻게 해야하나"라고 질의했다.
이 수석은 "해당 언론사가 어떤 목적으로 보도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과학적 근거로 보면 후쿠시마 사고 이후 우리 해역의 방사능 수치는 전혀 변함이 없다"고 답했다.
![]() |
이 수석은 "가짜뉴스에 대해서는 혹세무민을 넘어 수산업자 소상공인 생계를 위협하는 만큼 사회적으로 분명히 근절해야 한다고 본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삼중수소 가짜뉴스도 여전히 만연하다며 사실과 다름을 알렸다. 김 의원은 "매년 자연생성되는 삼중수소 양이 216g이고, 후쿠시마 전체 저장탱크 있는 양이 3g이다. 역사적으로도 전세계인의 삼중수소 연간 피폭량은 1960년대 미국, 소련 등의 핵실험 당시가 가장 높았고, 그 후로는 현저히 낮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시 대량방류와 80,90년대 동해에 러시아의 무단 핵폐기물 투기 이후에도 영향이 없었다. 이것이 과학적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 |
![]() |
김 의원은 이어 "민주당은 후쿠시마 방류가 런던협약 위반이고 하고 있는데 후쿠시마를 비롯해 모든 원전의 배출은 이런 상황을 고려해 수립된 배출기준에 따라 이뤄진다"며 "배출관리기준 이하 배출은 환경오염이 아니며, 이걸 가지고 국제협약 위반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국제적 합의를 깨뜨리는 우를 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이 수석에게 "현재 후쿠시마 방류를 걱정하는 국민이 많은 이유는 과학적으로 위험하기 때문이 아니라 정치적인 목적으로 가짜뉴스를 양산하고, 선동했기 때문"이라며 "이럴 때일수록, 정부는 우리해역과 수산물 감시를 강화하고 국민에게 올바른 사실을 전달하면서 국민을 안심시킬 의무가 있다"고 촉구했다.
이 수석은 "현재 정부는 200개 지점에서 해수의 방사능 오염도를 측정하고 있다. 내년에는 230곳으로 늘릴 계획"이라며 "국민들이 수산물에 대해 안심할 수 있도록 과학적 자료를 근거로 설득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jj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