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7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나유라 기자

ys106@ekn.kr

나유라 기자기자 기사모음




美증시 또 '털썩'...국채금리 하락에도 풀리지 않는 공포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8.10.12 08:29

다우지수 이틀간 1300포인트 이상 하락


▲(사진=연합)


뉴욕증시가 미국 국채금리 하락에도 공포 심리가 풀리지 않으면서 급락했다.

11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545.91포인트(2.13%) 급락한 25,052.83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57.31포인트(2.06%) 내린 2,728.3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92.99포인트(1.25%) 하락한 7,329.06에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이틀간 1300포인트 이상 하락했다. 전일 4% 넘게 폭락했던 나스닥은 그나마 낙폭이 줄었다.

▲(사진=다음 화면 캡쳐)


시장은 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CPI)와 금리 움직임, 주요 기술주 주가 동향 등을 주시했다. 최근 글로벌 증시 급락의 원인이었던 물가 상승과 이로 인한 금리 인상 부담은 다소 누그러졌다.

미 노동부는 9월 CPI가 전월비 0.1% 상승했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0.2%보다 낮았고, 지난달 0.2% 상승보다 둔화했다.

작년 9월 대비로는 2.3% 오르며 시장 예상을 밑돌았고, 8월 2.7% 상승과 비교해서도 상승 폭이 줄었다.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물가도 전월비 0.1%, 전년비 2.2% 오르며 시장 예상을 하회했다.

물가 상승 우려가 완화하고, 증시 급락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까지 더해져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3.15% 아래로 떨어졌다. 금리선물 시장에 반영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향후 금리 인상 가능성도 다소 하락했다.

또 매파적인 성향의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가 "점진적인 금리 인상이 적절하다"고 주장한 점도 국채금리 하락에 일조했다. 그는 "실업률이 지속 가능한 장기 수준 밑으로 내려갔는데도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우세했다"면서 "이는 향후 몇 년간 물가를 끌어올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달러화도 물가지표 둔화와 트럼프 대통령이 "강달러가 기업을 어렵게 한다"고 주장하면서 약세를 보였다.

이로 인해 다우지수는 장 초반 상승세를 나타내기도 했지만 전일 폭락으로 치솟은 공포심리를 누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다우지수는 장중 등락을 거듭하다 장 후반에는 한때 700포인트 가까이 급락했고 이후 낙폭을 줄였다가 또 급락하는 등 변동성이 계속됐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3분기 어닝시즌에 대한 부담이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며 "장 마감을 앞두고는 장중 상승세를 이어가던 기술주 위주로 시스템 트레이딩으로 추정되는 매물이 나오면서 한때 하락폭이 확대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는 전 업종이 하락한 가운데, 에너지가 3.09% 내려 가장 부진했다. 금융도 2.93% 하락했다. 전일 7년간 최고 수준으로 하락했던 기술주는 이날 1.27% 내려며 다소 진정됐다. 커뮤니케이션은 0.84% 내렸고, 전일 낙폭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유틸리티는 이날 1.97% 하락했다.

종목별로는 페이스북이 1.3% 상승하며 전일 폭락에서 벗어났다. 아마존은 2% 내려 부진을 이어갔다. 전일 마이크론이 인공지능(AI) 기술을 연구하는 신생업체에 1억 달러(약 1137억원)를 투자하고, 투자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히면서 마이크론(0.87%), 마이크로칩 테크(1.9%) 등 일부 반도체 종목은 강세를 보였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FF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12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78.1% 반영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8.41% 상승한 24.89를 기록했다. VIX 지수는 장중 28.84까지 치솟았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투자심리 위축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UBS 글로벌 웰쓰 매니지먼트의 제이슨 드라호 자산배분 대표는 "금리 상승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로 투자자들이 미국 시장의 강세가 얼마나 지속할 수 있을지 고민하게 됐다"며 "미국의 성장은 여전히 좋지만, 경기 사이클의 후반부임을 깨닫기 시작했고 금리도 올라가고 있는 만큼 더 큰 변동성과 암초를 만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