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7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최용선 기자

cys4677@ekn.kr

최용선 기자기자 기사모음




특검에 묶인 삼성.SK, 롯데.CJ 등 대기업들 해외서 '역풍'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7.02.23 07:36

▲(사진=에너지경제신문DB)


‘최순실 게이트’로 촉발된 특검의 수사가 대기업에까지 영향을 미치며 해외에서 강력한 역풍을 맞고 있다.

당장 미국을 축으로 한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환율 불안정성 고조, 한반도 사드 배치에 따른 한·중 갈등 격화 등 기업 경영과 무관한 변수들이 동시다발로 기업들을 압박하고 있다.

21일 재계에 따르면 특검 수사 1호 대상인 삼성을 비롯해 SK, 롯데, CJ 등은 각종 대외 변수들이 연거푸 닥치며 경영에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2017년 미국 내 기업 평판지수 조사에서 지난해보다 42계단 추락한 49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갤럭시노트7 발화에 따른 리콜 악재도 있지만 최근 총수 구속 등으로 기업 이미지가 크게 훼손된 것과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가 많다.

특히 갤럭시노트7의 배터리 발화 사고와 전량 리콜 등으로 타격을 입은 삼성은 당장 갤럭시S8 신제품 출시 과정에서 마케팅부터 미국·중국 등 대규모 이동통신사와 물량 공급 협상 시 과감한 승부수를 던져야 하지만, 최종적으로 결정할 총수의 부재로 운신의 폭이 제약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이재용 부회장 구속으로 국내 최대 수출시장이자 글로벌 수출 관문신 중국시장에서 적극적인 경영전략 운용이 답보상태에 빠졌다. 특히 이 부회장이 참석할 예정이던 중국판 다보스포럼인 보아오포럼 참석도 사실상 불발될 것으로 보여 포럼 참석을 통한 경제외교 기회도 놓치게 됐다.

4월 5일 열리는 이탈리아 자동차 회사 피아트크라이슬러 그룹(FCA)의 지주회사 엑소르(Exor) 이사회 참석 역시 힘들게 됐다. 이 부회장은 지난 2012년 5월부터 엑소르의 사외이사를 맡고 있다

SK그룹의 최태원 회장 역시 출국금지 상태로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보아오포럼 참석이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열린 다보스포럼에 최 회장은 매년 참석했지만 올해는 참석하지 못했다. 지난해 최 회장을 비롯한 SK그룹 계열사 CEO들은 1월 다보스포럼을 시작으로 유럽, 북미, 중국 등 3개 대륙을 돌며 글로벌 현장 경영 활동을 펼쳤지만, 올해는 발이 묶이면서 글로벌 경영에 제동이 걸렸다. 특히 최 회장은 중국사업 확대를 위해 적극 투자에 나섰지만 최순실 사태에 발이 묶이면서 의사결정 타이밍을 놓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SK이노베이션의 중국 화학업체 상하이세코의 지분인수 계획부터 중국 내 전기차 배터리 셀 합작공장 추진, SK종합화학의 중국 부탄디올 합작생산법인 설립 등이 실패 혹은 지연, 취소되는 상황에 직면해있다.

롯데는 사드부지 제공으로 중국으로부터 강한 압박을 받고 있다. 롯데닷컴의 알리바바 영업 중단부터 롯데슈퍼 매장 폐쇄 및 테마파크 공사 중단까지 중국발 악재가 연이어 터지고 있다. 신동빈 회장이 최순실 특검수사와 사드 배치 논란에 움직이지 못하고 있어 현장 상황 체크가 어려워 상황을 더 악화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CJ도 중국 소비자에 민감한 유통과 엔터테인먼트가 중국 내 주력사업이라는 점에서 역풍 가능성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한편 국내 정치권도 기업들의 경영 환경을 악화시키는데 한 몫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치권이 ‘상법 개정안’의 2월 입법에 속도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서 마련중인 상법개정안의 주요 골자는 △대주주 주권행사 부분 제한(감사위원 선임 때 의결권 3%까지만 인정) ▲기업경영 감시력 확대(집중투표제, 소액주주 추천 사외이사 의무 선임)로 정리된다.

이번 상법 개정안에는 기업의 경영투명성만 지나치게 강조할뿐 기업 생존과 경영효율화의 핵심인 자율성, 경영정보 보호 등을 침해할 독소조항들이 상당수 포함돼 있다는 것이 재계의 시각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기업 경영의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정치권의 명분은 충분히 이해한다"면서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기업 옥죄기 법안이 통과될 경우 뒤따르는 위험성이 너무 크다"고 우려했다.

이어 "총수들의 글로벌 경영에 대한 발이 묶이면서 투자지연에 따른 기회비용 상실, 소비자신뢰 추락이 현실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며 "정치·외교 외풍으로 오너들의 투자의사결정이 장기간 지연될 경우 한국 경제의 글로벌 경영위기로 전이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에너지경제신문 최용선 기자]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