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20일(월)
에너지경제 포토

이태민

etm@ekn.kr

이태민기자 기사모음




日 소뱅 ‘라인 뺏기’ 본격화…업계 “정부·네이버, 강력 대응해야” 촉구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5.09 18:23

소프트뱅크 “네이버와 자본 관계 재검토 협상 중…오래 걸릴 전망”
최대 주주 밀리 라인야후 경영권 상실…한일 외교 냉각 가능성도
IT업계 해외 사업 제동 우려…“범정부적 대응 나서야” 목소리


소프트뱅크

▲소프트뱅크 로고.

네이버와 일본 라인야후 간 자본 관계 재검토가 본격화되면서 네이버의 메신저 앱 '라인'이 소프트뱅크로 넘어갈 가능성이 커졌다. 업계에서는 이에 대한 범정부적 대응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소프트뱅크는 9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실적발표 콘퍼런스 콜에서 라인야후의 자본 관계 재검토를 위해 네이버와 협상 중이라고 밝혔다. 협상의 대전제는 소프트뱅크가 최대 주주가 되는 것이라고 못박았다. 현재 라인야후 최대주주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50%씩 출자해 설립한 A홀딩스다. 네이버가 A홀딩스의 주식을 단 1주라도 뺏기면 라인야후에 대한 경영 주도권이 소프트뱅크로 넘어가는 구조다.


미야카와 준이치 소프트뱅크 최고경영자(CEO)는 “라인야후의 요청에 따라 보안 거버넌스와 사업 전략 관점에서 자본 재검토를 협의 중"이라며 “A홀딩스 이사회 비율은 소프트뱅크가 더 높다. 이미 우리가 컨트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네이버와 지분 협상은 오래 걸릴지도 모른다. 전날 마지막 회의도 했지만 서로에게 채워야 할 부분이 남아 있어 보류됐다"고 밝혔다. 이어 “행정조치 답변 기한인 7월 1일까지 협상을 마무리하는 건 매우 어려울 전망"이라고 말했다.


앞서 라인야후는 지난 8일 열린 이사회에서 네이버와 위탁 관계를 단계적으로 종료하고, 기술적 협력 관계에서 독립을 추진할 것이란 뜻을 밝혔다. 라인야후는 이 자리에서 신중호 최고상품책임자(CPO)의 사내이사 퇴임 안건도 의결했다. 사실상 지난해 11월 발생한 약 52만건의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책임을 진 것으로 보인다. 신 CPO가 이번에 물러날 경우 향후 라인야후 이사진은 전원 일본인으로 구성될 전망이다.




이에 대해 네이버는 “중장기 전략에 기반해 결정할 문제로써 현재 지분 매각 건을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대통령실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련 부처 역시 “네이버의 요청 사항을 전적으로 존중할 것이며, 동향을 주시하며 필요한 경우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위정현

▲위정현 공정과 정의를 위한 IT시민연대 준비위원장(중앙대 교수)이 9일 오전 긴급 기자회견에서 취재진과 질의응답을 진행하고 있다.


정보기술(IT) 업계에서는 정부가 적극 개입해 협상 시한 조율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번 사태가 스노우볼로 작용해 해외 진출 기반을 상실함은 물론, 양국의 외교 문제로 비화될 수도 있음을 감안하면 대처가 미온적이라는 것이다.


공정과 정의를 위한 IT시민연대 준비위원회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고 민간, 정부, 국회가 참여하는 범정부 태스크포스(TF) 구성 등 정부의 구체적인 대응책 마련을 촉구했다.


위정현 준비위원장(중앙대 경영학부 교수)은 “이번 사태를 묵과한다면 향후 한국 기업이 서비스하는 모든 국가에서 동일한 요구에 직면할 수 있다"며 “일본 정부의 조치와 소프트뱅크의 행태에 대해 우리 정부는 강력한 항의와 반대 의사를 표명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위 준비위원장은 네이버 측의 명확한 입장 정리와 적극 대응도 주문했다. “네이버는 이번 사태에서 이긴다 하더라도 향후 일본 사업이 쉽지 않을 것이란 계산이 깔려 있다. 네이버가 스스로 발 벗고 나서야한다"며 “네이버가 소프트뱅크의 협박에 굴복한다면 향후 두고두고 '친일기업'으로 낙인찍힐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일본 총무성은 최근 두 차례의 행정 지도를 통해 네이버의 라인야후 지분 축소를 요구했다. 지난해 11월 말 네이버클라우드가 사이버 공격을 받으면서 약 52만 건의 라인 메신저 이용자 개인정보가 유출된 데 따른 것이다. 일본 정부는 안전 관리 강화와 보안 거버넌스 재검토 등 조치를 요구한 것이란 입장이지만, 업계에서는 라인야후의 경영권을 탈취하기 위한 의도가 담긴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