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12일(일)
에너지경제 포토

전지성 기자

jjs@ekn.kr

전지성 기자기자 기사모음




에너지전환, 재생에너지 집중투자 초읽기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7.10.27 21:38

▲에너지전환(탈원전) 로드맵 주요 내용.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지난 24일 정부의 에너지 전환(탈원전)로드맵이 확정·발표되면서 현재 2%대에 불과한 국내 재생에너지 비중이 큰 폭의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에너지기구(IEA)의 2015년 신재생에너지 보급 비중 통계를 보면 한국의 재생에너지 설비 비중은 2%대로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최하위 수준이다. 신규설치량은 매년 변동성이 크고 누적기준으로도 약 6%에 불과하다.

13

▲자료=OECD, 유진투자증권. 2015년 기준, 코스타리카,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는 2014년 기준


반면 지난 4~5년 전부터 글로벌 신규 발전설비의 40~60%는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채워지고 있다. OECD 국가로 한정하면 그 비율은 더 높아진다. 유럽은 90% 이상,미국도 60% 이상의 신규발전설비가 풍력과 태양광이다. 유럽 미국은 초기의 대규모 투자로 전기요금 상승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재생에너지의 발전단가가 급락하면서 전기요금까지 하락하고 있다. 재생에너지를 100%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글로벌기업들이 100개를 넘어섰다.

애플,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 등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하는 기업들은 물론, GM, BMW, 월마트, IKEA 등 전통산업의 대표업체들까지 이에 동참하고 있다. 이들은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납품 받는 비율을 높이고 있다. 아마존, 페이스북 등은 대규모 데이터 센터 허브를 IT 인프라가 좋은 대한민국에 설치하고 싶으나, 내부규정 상 할 수 없다. 이 회사들은 100%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으로 데이터센터를 운영해야 하기 때문이다.

매년 공급업체들의 재생에너지 비율을 확인하는 애플의 경우, 이를 기준으로 업체들의 생존을 결정할 수도 있다. 재생에너지의 확보는 선택의 문제에서 생존의 영역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11

▲글로벌 재생에너지 비중 증가 추이. 자료=BNEF, 유진투자증권

반면 국내에는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이 부족할 뿐 아니라 법적으로도 수요자가 전력의 종류를 선택할 수 없다.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에 전문가 패널로 참여한 한 연구원은 "공론화 과정에서 느낀 점 가운데 하나는 전세계 에너지시장의 역동적인 변화에 대한 정보가 국내에 너무 부족하다는 것이었다"며 "원전 산업을 유망한 산업으로 분류하는 국가는 찾아보기 어렵다"고 했다.

실제 원전개발의 시조격인 웨스팅하우스와 아레바는 재무적으로 몰락한 상태이고, 원전 최대 국가인 미국에서는 중립신용기관인 S&P가 향후 38년 내에 미국의 모든 원전이 문을 닫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 원전 비중이 가장 높은 프랑스도 2025년까지 17기의 원전을 폐쇄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집중투자로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필요

국내에는 재생에너지 투자가 미미해 발전단가가 원전, 석탄 등에 비해 높은 상태다. 미국 유럽 등의 지난 약 10년 전 수준이다. 재생에너지 전문가들은 "국내에 설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이를 충족하기 위한 공급업체들이 성장하는 것 만으로도 단기간에 재생에너지의 발전단가는 30% 이상 낮아질 수 있다"며 "단기간 집중투자를 통해 국내 풍력, 태양광 업체들의 성장을 견인하는 정책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으로 제도적 틀은 마련된 분위기다. 특히 국내 풍력시장은 연간 최대 200MW에서 5년 내에 약 1GW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유진투자증권 한병화 연구원은 "입지 선정이 사업화의 최대난제 였는데 정부가 직접 계획 입지를 도입하는 것이 확정됐기 때문에 수요확대 장애물이 제거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12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국내의 풍력, 태양광 목표 설치량. 자료=산업통상자원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