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18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정희순 기자

hsjung@ekn.kr

정희순 기자기자 기사모음




코로나19 돌파구, 5G에서 찾는다…정부, 5G 전략산업 육성에 6500억 투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0.04.08 15:00

[에너지경제신문=정희순 기자] 정부가 5G(5세대 이동통신) 전략산업을 본격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올해 약 65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원격·재택근무, 비대면 진료 등이 일상화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공격적인 5G 인프라 확충과 다양한 비대면 서비스 발굴 등을 통해 새로운 성장의 기회를 마련하겠다는 취지다.

정부는 8일 화상으로 제3차 범부처 민·관 합동 ‘5G+ 전략위원회’를 열고 5G 융합서비스 발굴·확산을 위한 규제 혁신 및 성과 창출을 가속화하기 위한 신규사업 발굴과 함께 상시적인 점검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세계 최초 상용화 1주년을 맞은 국내 5G 가입자 수가 지난 2일 기준 577만 명을 넘어선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돌파구로 5G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취지다.

정부는 이를 위해 올해 △네트워크 장비 △차세대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정보보안 △실감콘텐츠/VR·AR 디바이스 △스마트공장 △(미래형) 드론 △5G V2X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디지털 헬스케어 △지능형 CCTV △(커넥티드) 로봇 △엣지컴퓨팅 등 15대 5G+전략산업분야에 6500억원의 예산을 투입키로 했다. 특히 네트워크 장비, 차세대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정보보안, 실감 콘텐츠 및 디바이스, 스마트공장을 시장선도분야로 정하고, 글로벌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먼저 올해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5G 네트워크 장비 분야에서는 국내 장비의 시장 점유율 20% 이상을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또 올해 글로벌 5G 스마트폰 판매량이 2배 이상 성장할 것에 대비해 핵심부품 개발 및 28㎓ 단말기 테스트베드 구축을 추진한다.

헬스케어 기기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는 헬스케어 제품 신규개발 및 산업육성전략 수립을 추진해 국내 기업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15%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5G 인프라 투자설비 증가로 지난해 전년대비 211.5% 증가를 보인 정보보안 분야는 선도기술 개발과 함께 인력양성, 서비스별 보안모델 개발을 추진한다. 

또 VR·AR 등을 활용한 실감콘텐츠 분야는 글로벌 시장 점유율 20% 이상을 달성하기 위해 제작 지원을 확대한다. 5G 스마트공장의 경우, 올해 50개 내외를 목표로 잡은 중국보다 4배 이상 많은 200개 이상을 구축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5G+ 전략’의 지속적·체계적 추진을 위해 기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위주의 과제실행체계를 개편하여, 각 부처 전문기관, 민관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점검반을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 주재로 운영될 점검반은 과기정통부 책임 담당관과 각 부처 전문기관 담당자, 전문가, 민간 협단체 등으로 상반기 내 구성한다.

아울러 정부는 2021년 신규 사업을 범부처 협력을 통해 추진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고혈압, 당뇨, 발열, 복통 등 주요 감염병 증상과 질환을 빠르게 진단, 분석 할 수 있는 "닥터앤서 2.0" 개발 사업과 자율주행 데이터 수집·처리, 차량통신 및 보안 등 완전자율주행 핵심 기술개발 사업 등이다. 이들 사업은 연내 기획재정부의 예산심의 과정을 거친 이후 확정될 예정이다.

전략위원회 위원장인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5G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지 벌써 1년이 지났지만 국민들이 변화를 체감하기에 아직 미흡한 점이 많다"면서 "조기에 가시적 성과를 창출하여 5G 일등국가로 도약하고,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위기상황을 5G+ 전략으로 극복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범부처·민관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8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정보화진흥원 서울사무소에서 열린 '제3차 5G+ 전략위원회' 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과기정통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