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주 바이롱 광산 위치도. (사진=한전) |
한국전력공사가 호주에서 주요 정부 인사를 만나며 바이롱 광산 개발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정희 한전 상임감사위원은 지난 4~10일 호주 출장을 떠났다. 바이롱 사업의 개발 허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이번엔 환경 인증 만료…한전 호주 바이롱 광산 '첩첩산중'
이 감사위원은 호주법인을 방문해 바이롱 사업 추진 현황을 살피고 광산을 시찰했다. 또 관련 기관과 면담을 진행하고 바이롱 광산 개발 허가를 적기에 취득하도록 지원해 달라고 거듭 요청했다.
바이롱 광산은 현재 한전이 90%, 발전 5개사(중부·서부·남부·남동·동서)가 각각 지분 2%를 가진다. 현지 환경단체와 지역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혀 9년째 개발 승인이 지연되고 있다.
이들은 광산 개발이 수질 오염을 불러오고 온실가스를 배출해 기후변화에 악영향을 준다고 주장한다. 지난달에는 개발 재검토를 호소하는 거리 행진을 진행하고 반대 입장을 담은 호소문을 정부에 전달했다.
더욱이 광산개발업체 글로스터 리소스즈가 추진한 헌터밸리 지역 탄광 개발 사업을 불허하는 법원의 판결이 나온 이후 반발이 극심해지고 있다. 뉴사우스웨일스주 토지환경법원은 지난 2월 해당 사업이 온실가스 배출을 증가시킨다며 개발을 허가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허가 취득이 지연되는 가운데 환경평가 인증 기한마저 올 4월 만료됐다. 이 평가는 광산 개발이 농지와 지하수 등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심사한 것이다. 사업 승인 기구인 호주 독립계획위원회는 환경평가 인증 없이 바이롱 광산 개발을 승인할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한전은 다시 심사를 받아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바이롱 사업의 어려움이 가중되자 한전은 현지 네트워크를 활용해 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다. 작년 11월에는 김종갑 한전 사장이 바이롱 관할 지방정부 시장, 호주 연방 자원부 등을 만나 사업 승인을 촉구한 바 있다. 박형구 중부발전 사장도 지난 4월 말 호주법인을 찾아 사업을 점검했었다.
[에너지경제신문 송재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