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6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강예슬 기자

kys21@ekn.kr

강예슬 기자기자 기사모음




재생에너지 확대에 계통연계 수요 느는데, 대책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8.01.26 17:57
2018012501001142600046131

▲재생에너지 3020정책에 따라 재생에너지발전소 건립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한전의 계통연계 가능용량 확대는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사진=픽사베이)

[에너지경제신문 강예슬 기자] ‘재생에너지 3020정책’에 따라 재생에너지 발전소 건립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한전의 계통연계 가능 용량 증설이 보급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6년 10월 말부터 지난 해 말까지 계통연계 누적 신청건수는 1만6000건에 달한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한전의 계통한계수용량(16GW)은 재생에너지 발전용량 50GW를 감당하기에 턱 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보급이 확대될 지역인 강원, 영남, 호남 등에 계통연계 가능용량이 적은 것이 특히 문제다. 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이 다양한 지역에 건설되기 전까지 한전은 전력소비량이 많은, 즉 부하가 많은 지역에 변전소를 주로 설치해 왔다. 이 때문에 태양광 발전사업자는 발전설비가 적은 농촌지역 유휴부지에 발전소를 짓기 위한 계통연계 용량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태양광업체의 한 관계자는 "계통연계 가능용량이 없거나 적은 지자체에서 발전사업을 하려면 계통연계 가능용량 확보를 위해 3년을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있다"며 "계통연계 가능용량이 확보되길 기다리는 경우 땅을 놀릴 수밖에 없어 발전사업을 하지 말라는 것과 다름 없다"고 했다. 이어 "재생에너지 수요가 많아지는 지방의 경우 계통연계 가능용량이 적어 확대 방안이 필요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현재 발전사업자가 특정 지역 내 발전시설을 짓기 위해 지자체에 계통연계 가능용량 확인하려 하면 정확한 여유 수치를 알기 어려운 상황이다. 발전사업자는 계통연계 가능용량이 어느 정도 남았는지 정확히 알지 못한 채 발전허가를 우선 신청해 시간적·비용적 비효율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한전 계통연계 담당자는 "계통연계 가능용량이 얼마인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변전소 여건과 지역별 상황을 다 고려해야 해 그 양을 산출하기 쉽지 않다"며 "2030년까지 정부가 58.5GW의 재생에너지를 수용하겠다고 했는데 현재 여건상 해당 용량을 받아줄 수 있는 상황이 아닌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이어 "다만 지역별 계통 여유가 얼마나 있는지는 분기별로 현황데이터를 공개하기 위해 준비 중"이라며 "변전소, 변압기에서 시작해 변전소 신설까지 고려하는 등 발전설비 보강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전의 구체적인 송배전 계획은 ‘제8차 장기 송배적 설비계획’에 담길 예정이다.

하지만 계통연계 가능용량이 공개 여부는 앞으로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한전은 지난 2015년에 발표된 ‘제7차 장기 송배전 설비계획’ 당시에도 전국 송전망과 변전소 수용가능 용량을 발표하려고 했지만, 변수에 따라 변동성이 크다는 이유로 뺐다.

발전설비 보강과 아울러 한전은 ‘유연송전시스템(FACTS)’나 ‘신개념 에너지저장장치(KG-ESS)’ 도입도 준비 중이다. 유연송전시스템은 신규 선로 보강 없이도 전압 보상이 가능해 선로를 보강하는 효과를 낼 수 있어 대용량 전력 수송과 계통의 안전성 향상을 가능케 하는 시스템이다. 한전은 재생에너지 발전소가 들어오는 지역의 계통 현황을 검토한 뒤 위치를 지정해 유연송전시스템을 구축키로 했다.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개선하는 계통안정화용 에너지저장장치로 주목받는 KG-ESS도 2~3년 내로 적용 가능하다는 게 한전의 입장이다.

그러나 업계는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로 계통연계 수요, 발전설비에 대한 수요를 적시에 한전이 충족시키기는 사실상 불가능해 계통연계 용량의 수요와 공급에는 불균형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보고 있다. 


홍권표 신재생에너지협회 상근부회장은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고압 송전로 등 발전설비를 신설해야 할 경우 고압선이 지나가는 곳에 있을 축사, 논밭의 주인들의 반발 등으로 쉽지 않을 것"이라며 "한전이 스스로 분산형전원으로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해법으로 마이크로그리드를 제시했다. 마이크로그리드는 다수의 소규모 분산전원과 부하의 집합체로 구성돼, 안정적인 전기공급과 양방향 송배전이 가능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마이크로그리드가 실현될 경우 소규모 전력공동체는 자체 전력망 내 전기수요를 100% 충당할 수 있게 된다. 발전 설비를 두고 갈등이 발생하는 여지가 대폭 축소되는 셈이다. 

홍 부회장은 "마이크로그리드의 경우 아주 큰 단위에서부터 하긴 쉽지 않지만 작은 단위라도 모델을 만들어 나가며 확산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홍준희 가천대 에너지IT학과 교수는 "계통문제는 워낙 복잡한 문제이기 때문에 대안을 찾기가 쉽지 않다"며 "송전계통 전체에 대해 저명한 전문가와 정부, 산업계가 모두 모여 해결책을 논의할 자리를 먼저 만들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8차 전력수급계획이 해당 내용을 논의할 자리였으나 급하게 넘어간 감이 없지 않다"며 "이제라도 후속 조치를 빨리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