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18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서양덕 기자

syd6162@ekn.kr

서양덕 기자기자 기사모음




[이슈 스페셜] 제로에너지빌딩 사업…'서서히' 그러나 '탄탄히' 기초공사중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5.10.21 15:06
[에너지경제신문 서양덕 기자] 제로에너지빌딩이 뜨고 있다.

지난달 24일 서울에서 열린 ‘제7회 2015 글로버그린성장포럼(GGGF·Global Green Growth Forum) 특별강연’에서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에너지신산업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정부는 지난해 제11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기후변화대응 제로에너지빌딩 조기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고 활성화를 위한 로드맵 수립과 관련 정책들을 시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후 정부는 시범사업을 공모해 시장 선도형 성공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1일 국토부 한 관계자는 "건축기준 완화, 신재생에너지 설치보조금 우선지원, 세제감면 등 포괄적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제로에너지빌딩은 에너지절약요소 기술이 접목돼 설계된 건축물에 고효율 신재생에너지 생산설비를 추가함으로써 건물에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공급해 건물 운영이 가능하도록 만든 빌딩을 말한다.

지난해 3월 박근혜 대통령이 독일 순방 후 제로에너지빌딩을 기후변화나 에너지 고갈에 영향받지 않는 기술로 평가하고 이를 국내에서도 조기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시한 사항을 반영해 정부 주도로 사업이 추진됐다.

정부는 제로에너지빌딩 시범사업 지원을 위해 한국에너지공단과 건설기술연구원을 제로에너지빌딩 지원센터로 선정해 이들 기관이 설계검토부터 기술지원, 품질관리, 홍보, 컨설팅, 연구 등에 관한 업무를 책임지고 수행하고 있다.

제로에너지빌딩 활성화를 위해 정부는 기술수준 및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현실적으로 제로화가 가능한 수준에서 사업방식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저층형, 고층형, 타운형 등 3가지 맞춤형 사업모델을 마련했다.

정부가  제시한 3가지 맞춤형 제로에너지빌딩 사업모델
구분 기대효과
저층형 건축물에 필요한 냉난방 등 에너지를 해당  부지 내에서 자급자족
고층형 인근 학교 및 공원 등과 신재생 에너지를 연계
타운형 개별 건축물에서 지구단위로 제로에너지 대상을 확대
국토교통부는 시범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건축기준 완화(용적률 15% 이내 완화), 신재생에너지 설치보조금 우선지원, BEMS 설치 보조금 지원, 취득세(15%) 및 재산세(5년간 15%) 감면 등의 지원을 제공한다고 밝힌 바 있다. 국토교통부는 또 2025년 제로에너지빌딩을 목표로 에너지 설계기준을 단계적으로 강화하고 상용화를 위한 R&D를 추진 중이며 냉·난방 에너지를 90% 절감(주택 2017년, 비주택 2020년)을 목표로 단열기준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일사차단 기준 등을 마련 중에 있다.

◇제로에너지빌딩 시범사업 통해 가능성 확인

지난해 10월부터 두 달간 국토교통부는 저층형 제로에너지빌딩 시범사업을 공모해 같은해 12월 총 5건을 최종 선정했다. KCC 서초사옥 별관(비주거, 업무시설), 충북 청주 e-플러스 조성공사 복합문화관(비주거, 문화시설), 진천군 제로에너지 시범단지(주거, 단독주택), 세종시 행복주택(주거, 단독주택단지), 서울 장안동 e-플러스 하우징(주거, 단독주택단지) 등이다. 국토부 관계자에 따르면 5개 사업별로 성격이 달라 진행 상황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국토부가 올해 연말 사업 인가를 낼 계획에 있고 내년 착공에 들어갈 수 있도록 과정이 진행중에 있다.

KCC 서초사옥 별관 사업의 경우 국토부는 KCC연구소에서 연구한 기술을 제로에너지빌딩에 연계할 경우 홍보 효과와 함께 부지 가치가 향상될 것이라고 판단해 선정했다.

청주 e-플러스 복합문화관은 산업단지 내의 기술홍보를 목적으로 국산 제품을 활용해 제로에너지빌딩을 구현하는 조건으로 선정됐다. 이밖에 진천 시범단지는 농촌형 제로에너지 단독주택단지로써의 역할 기대, 세종시 행복주택은 블록형 단독주택 조성사업이라는 특징이 있어 시범사업에 뽑혔다. 마지막으로 장안동 e-플러스 하우징은 현재 가로주택정비사업(노후 불량 주거지의 기존 기반시설과 가로망은 유지하면서 최고 7층 높이의 공동주택을 신축하는 소규모 정비사업)이 추진중이고 서울에 위치해 시범사업으로의 홍보효과가 클 것으로 정부는 예상하고 있다.

올해 6월 국토부가 공모한 고층형 시범사업에는 인천 송도 6·8공구 A11블럭 공동주택 단지(886세대)가 선정돼 2018년 준공을 목표로 이달 중으로 분양을 시작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고층형 시범사업의 착공시기는 내년 초로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건설이 시공하는 ‘힐스테이트 레이크 송도’는 국내 공동주택으로는 최초로 에너지효율등급 ‘1++’을 인증받을 예정이다. 입주자는 최대 77%의 난방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고 인천시 평균 대비 전기비용과 난방비용을 각각 50%, 40% 이상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제로에너지빌딩 관련 R&D 추진현황
구분 기관 위치 조성기간 투자비 기대효과
제로에너지 주택 실증단지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시 노원구 하계동 121세대 2013.10~2017.10 180억 신재생에너지로 건물에 필요한 전기 70% 충당
제로카본 그린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기도 고양시 건기연 1개동 2009.7~2012.6 70억 패시브 액티브 핵심 요소기술 국산화를 통한  제로에너지 구현
시장수요기반 녹색건축물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세대 송도캠퍼스 1개동 2011.12~2016.6 57억 도시 에너지소비 및 CO2 발생이 많은 오피스  부분의 온실가스 감축


◇ 제로에너지빌딩, 외국은 어떻게 하고 있나


제로에너지빌딩은 비단 한국을 포함한 특정 국가만의 관심사는 아니다. 전세계가 제로에너지빌딩에 주목하고 있고 각 국이 활발하게 기술 연구 개발을 진행중이다. 유럽의 경우 EU 에너지효율 가이드라인에 따라 2020년까지 유럽 내에는 에너지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건축물(nearly zero energy buildings)을 만들어야 한다.

조동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위원은 "영국은 내년부터 모든 신축 주택에 대해서 제로에너지주택이 아닌 제로카본홈(이산화탄소 배출이 제로인 주택)을 의무화하기로 했고,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패시브하우스의 원조격으로 오스트리아는 저층주택을 패시브로 많이 짓고 있는데 이들 나라가 패시브하우스에 쏟는 노력들이 많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미국은 2030년까지 신축하는 모든 업무용 빌딩을 제로에너지로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2013년 완공된 초고층빌딩 중국 광저우의 펄리버타워(Pearl River Tower)에는 풍력발전기가 설치돼 있다. 뿐만 아니라 자연채광 제어, 태양광시스템, 복사냉난방 기술을 종합적으로 적용해 제로에너지빌딩에 가깝게 구현됐다.


[인터뷰] 김의경 한국에너지공단 건물수송에너지실장

정부는 2020년부터는 모든 신축 공공건물, 2025년부터 신축하는 민간 건물에 대해 제로에너지빌딩을 의무화 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현재 한국에너지공단은 제로에너지빌딩 지원센터로 지정돼 사업 기반을 다지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제로에너지빌딩 사업 보급’이라는 중책을 맡아 현장을 지휘하는 김의경 한국에너지공단 건물수송에너지실장을 만났다.

-제로에너지빌딩 사업 관련 공단의 역할은?

"국토부가 제로에너지빌딩 지원센터로 한국에너지공단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을 지정했어요. 현재 공단이 보급촉진, 활성화, 저변확대 이런 부분들을 담당을 하고 있고 기술적인 연구 관련해서는 건설기술연구원이 담당하고 있다."

-제로에너지빌딩이 뭔가?

"사실 세계 각국을 가도 제로에너지빌딩의 개념에 대해서 명확하게 정의된 바는 없다. 제로에너지빌딩은 구현하기 전에 패시브하우스라는 게 있다. 이는 건축 안에 열이 가득 차있으면 열이 창문, 벽재, 지붕이나 바닥을 통해서 새어나오게 돼 있는데 이걸 가능한 한 단열을 강화해서 내부에서 생성된 열이 바깥으로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구조체를 만드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에너지소비가 60∼80% 가량 줄게 되지만 대신 비용은 많이 든다. 그렇게 건물을 만들어놓고 보일러 냉동기, 조명기기 등 에너지 소비 필수기기들을 고효율 기기들을 채택하고 액티브 기술이라고 하는 신재생에너지를 부가적으로 채택해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을 융합해서 만들어진 건축물이 제로에너지빌딩이다."

-제로에너지빌딩 사업이 초기단계라 보급이 쉽지 않을텐데?

"현재 이 사업의 문제는 제로에너지빌딩을 짓는데 투자비가 많이 들어 경제적이지 못하다. 현실적으로 우리나라 에너지 가격이 높다면 이게 경제성이 있다. 예를 들어 독일의 경우 전기요금이 비싸니까 제로에너지빌딩쪽으로 조금 더 많이 가는 거고, 선진국으로 갈수록 에너지 가격이 높아지니까 물가 대비 제로에너지빌딩의 상대적 가격이 대충 비슷해져 비교적 빨리 추진이 되고 있고 실제로도 그렇게 흘러가고 있다. 한국에서는 제로에너지빌딩이라는 것 자체가 경제적인 측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더디게 갈 수밖에 없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에러가 제로에너지빌딩 제어에 있어 생기는 가장 일반적인 문제로 지적하는데?

"물론 이를 인식하고 있다. EMS(에너지관리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기술은 관리체제를 일정한 절차에 따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말하는데 EMS기술의 현재 문제는 프로그램 별로 통합을 하는데 어렵다. 예를 들어 펌프 제조 회사, 보일러 제조 회사 등이 각기 따로 제로에너지빌딩에 들어온다. 이들을 통합한다는 것 자체가 쉬운 일은 아니다. EMS을 구축해서 하나의 시스템에 각각 연결을 해서 이들 기기를 센싱하고 컨트롤 하는 기술을 연결하고 같이 매칭을 시켜줘야 하는데 이거는 각각 만드는 회사들에 대한 프로그램이 따로 다 있다. 현재 이런 것들을 조금씩 표준화해나가는 작업을 하려고 하고 있다. BEMS규격을 확산해 나가고 국가기술표준원하고 협력해 KS규격을 제정해 나갈 예정이다."

-보급 확대를 위한 제언은?

"제로에너지빌딩이 구현이 되기 위해서는 패시브건축물을 하고 그러고 고효율기기를 설치를 하고 신재생에너지를 채택을 해야 한다. 그렇지만 아직은 투자대비 경제성이 떨어진다. 현재 국민들이 이를 부담하기에 투자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서서히 기반 구축을 하고 나서 보급을 촉진을 해야 한다. 초반에는 서서히 갈 것이다. 기반 다지기를 충실히 하고 나서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면 건물에너지 부분도 충분히 에너지절약에서 좋은 역할을 할 것이라고 본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