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논란에 휩싸인 GTX. 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장원석 기자] 서울과 경기도를 잇는 획기적인 교통대책으로 불리는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 대해 이해관계자들이 충돌하고 있다. 여야 가릴 것 없이 대선 후보들은 경쟁적으로 GTX 노선 연장과 신설을 공약하고 나섰고, 최근에는 서울의 한 자치구에서 GTX 노선 지상화에 항의해 감사원 공익감사를 청구하기도 했다. 경기도 발전의 획기적인 전환점을 가져올 수도 있는 만큼 이래저래 말도 많고 탈도 많은 GTX다.
27일 서울 도봉구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 GTX-C 노선 지상화 변경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를 청구했다고 밝혔다. 더불어 도봉구 주민들은 ‘GTX-C 도봉 구간 지상화 결사반대 투쟁위원회’를 구성하고, 지난 10일부터 노선 지상화에 반대하는 서명 운동에 돌입했다.
이동진 도봉구청장은 "10년이란 긴 시간을 거치며 국토교통부가 확정한 GTX-C 노선 사업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현대건설컨소시엄과의 실시협약을 앞두고 갑작스럽게 변경된 것은 누가 봐도 석연치 않다"고 청구 취지를 밝혔다.
도봉구에 따르면 경기도 양주 덕정과 수원을 잇는 GTX-C 노선 중 도봉구 창동역∼도봉산역 5.4㎞ 구간은 당초 지하 신설구간으로 계획됐다. 국토부는 2020년 10월 확정한 기본계획에서 서울 전 구간을 지하로 건설하기로 했으나 현대건설컨소시엄과 실시협약을 앞두고 서울에서 도봉 구간만 경원선(1호선) 지상 철로를 공유하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했다.
도봉구는 이 같은 조치가 민간사업자에게는 수천억원에 이르는 사업비를 절감시켜주는 반면 주민에게는 막대한 소음, 분진, 진동 등의 피해를 주는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이 구청장은 "지상화 변경은 상위 ‘기본계획’의 핵심인 도봉구간 지하화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자 도봉구민의 안전과 편의를 외면한 처사"라며 "모든 수단을 동원해 국토교통부의 사업변경안을 저지하겠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정치권에서도 GTX 논란 확산에 부채질을 했다. 당초 A·B·C·D 노선으로 계획됐던 GTX노선을 E·F 노선까지 확대하고 정차역을 신설하겠다는 공약이 여야 모두에서 나왔다.
실제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GTX를 연장·신설해 6개 노선까지 늘리겠다는 공약을 나란히 제시했다. 이달 초 윤 후보가 GTX 공약을 발표한 데 이어 이 후보도 24일 관련 공약을 제시했다.
이 후보와 윤 후보의 GTX 공약은 모두 A·C·D 노선 등을 연장하고 E·F 노선을 신설하는 게 골자다. D·E·F 노선의 정차역·구간 등에서 차이가 있는 정도로 GTX를 신설·확장한다는 것은 베낀 듯 닮아 있다.
이런 정치권의 모습에서 GTX도 퍼주기 논란에 휩싸였다. 주로 경기지역 지자체와 주민들이 합세해 여론 몰이를 하고 있는 가운데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 심지어는 유력 대선 후보까지 GTX-C노선 노선 연장과 정차역 추가에 사활을 걸고 유치전에 뛰어든 모습이다.
더구나 막대한 사업 비용과 늘어지는 개통 시간도 문제다. 두 후보가 제안한 연장 노선의 건설 비용만도 ㎞당 1000억 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돼 총 건설 비용이 17조원으로 추산된다. 민자로 충당한다는 계획이지만 이렇게 되면 시민들의 교통 부담이 늘어난다. 기간도 문제여서 예를 들어 현재 4개 노선 중 그나마 착공된 A노선의 경우 계획부터 착공까지만 8년이 걸렸다. 임기 내 개통은 커녕 착공 여부도 불확실한 것이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최근 정치권의 GTX 공약을 뜯어보면 나라 발전이야 어쨌든 당장의 한 표를 위해서 일단 여론몰이를 통해 내 집 근처에만 정차하면 된다는 ‘핌피(PIMFY·Please In My Front Yard)’ 현상이 그대로 드러나는 광경"이라고 꼬집었다.
jw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