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가스소비자원(대표 김명도, 이하 가소원)은 최근 “열량제는 반드시 실시간 검침이 필요하고 이것이 없는 열량제는 결국 소비자의 요금 피해로 이어진다”고 밝혔다.
가소원은 “높은 열량에 따라 책정된 요금이 자칫하면 낮은 열량의 도시가스를 공급 받은 사용자에게 부과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열량제를 정확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Time-lag(시간지연) 극복이 최대 관건이다. 수입한 LNG가 가스공사의 저장소를 출발해 도시가스회사를 거치고 배관을 통과해 사용자에게 공급된 후 검침이 이루어질 때까지 시간을 정확하게 알 수 없다. 그 시차도 사용자에 따라 차이가 난다”고 설명했다.
또한 “열량제 홍보자료에 따르면 열량이 저하해도 그만큼 가격을 깎아주니까 문제가 없고 단지 가열 시간만 늘어날 뿐이라 설명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지적했다.
가소원은 “도시가스 열량이 낮다는 것은 도시가스 내부에 수분 등 불순물이 많다는 뜻”이라며 “도시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열량 중 일부는 이런 불순물의 온도를 높이는데 사용된다”고 꼬집었다. 불필요한 에너지손실이 발생하고 에너지 효율이 낮아져 사용자가 손해를 본다고 언급했다.
가소원 주장에 따르면 실시간 검침시스템은 지난 2005년부터 산자부(현 지경부)와 도시가스회사가 보급을 시작해 전국에 약 3만대가 보급됐다. 하지만 현재는 보급이 중단된 상태다.
한편 가스공사는 지난 7월1일 천연가스 열량범위제를 시행하며 1만350kcal로 천연가스를 공급하고 있다. 가스공사는 오는 9월말까지 1만350kcal로 공급하고 10월부터 12말까지 50kcal 더 낮춰 1만300kcal로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공급열량은 2014년까지 ㎥당 1만100~1만600kcal로 조정하고 2015년부터는 9800~1만600kcal까지 낮추겠다고 가스공사는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