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의 위탁을 받아 한국에너지재단이 시행하고 있는 ‘저소득층 에너지효율개선사업’에 대한 2010년도 실적이 집계됐다.
‘저소득층 에너지효율개선사업’은 기초생활수급권자와 차상위계층 가운데 시·군·구로부터 추천을 받은 에너지 취약가구를 대상으로 난방물품 및 고효율기기(보일러 개체, 난방 매트, 냉장고, 가스레인지 등)을 지원하거나, 벽이나 창호 등 단열공사를 통해 에너지효율을 높여줌으로써 취약계층의 에너지비용을 원천적으로 줄여주는 사업이다.2010년 사업예산은 총 292억원으로 복권기금에서 지원되었으며, 한국에너지재단은 이 사업비로 기초생활수급가구 및 차상위 계층 43,336가구를 지원했다.
지원 가구수와 지원금액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 4,172가구(2,820,480천원) △부산 2,182가구(1,381,565천원) △대구 1,415가구(675,933천원) △인천 1,263가구(785,394천원) △광주 3,580가구(1,622,828천원) △대전 733가구(379,178천원) △울산 802가구(698,407천원) △경기 4,683가구(3,402,021천원) △강원 3,281가구(1,901,943천원) △충북 1,199가구(752,441천원) △충남 2,168가구(1,524,709천원) △경북 3,316가구(2,193,292천원) △경남 3,262가구(2,200,227천원) △전북 4,055가구(2,811,577천원) △전남 6,585가구(3,892,056천원) △제주 640가구(484,471천원)였다.
계층별로는 △기초생활수급계층이 36,098가구 △차상위계층이 7,238가구이며, 세대구성별로는 △홀몸노인 15,913가구 △노인가정 4,092가구 △소년소녀가정 494가구 △한부모가정 4,410가구, △장애인가정 7,718가구 △조손가정 1,395가구 △일반가정 7,901가구 △기타가정 1,413가구로 집계됐다.
또 이를 지원 내용별로 보면 △창호공사 15,356가구 △단열공사 11,186가구 △바닥공사 2,685가구 △보일러 지원 2,685가구 △난방매트 지원 10,151가구 △냉장고 지원 3,052가구 △가스레인지 지원 4,816가구로 나타났다.
에너지빈곤층을 위한 난방연료 긴급지원사업 추진
한국에너지재단은 지난해 11월부터 겨울철 난방연료가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주변의 이웃들에게 따뜻하게 겨울을 날 수 있도록 난방연료를 긴급 지원하고 있다.
이 사업은 SK에너지,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 등 정유4사가 조성한 사회공헌기금으로 지원되고 있으며, 18세 미만 아동이 함께 거주하고 있는 가구 중 국민기초생활수급가구 또는 차상위계층으로 난방연료가 고갈된 가구가 지원 대상이다.
난방연료 긴급지원 사업은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 사회복지 담당공무원이나 지역 사회복지기관의 복지사가 에너지 위기 가정을 파악하여 에너지재단에 지원요청을 하면 이에 대한 심사와 승인을 받은 뒤 현물로 난방연료(난방유 200L, 난방용 프로판가스50kg중 택일)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난방연료 긴급 지원사업은 오는 3월말까지 진행된다.
지난해 11월 1일부터 올해 2월 21일까지 집계결과에 따르면, 전국에서 5,320여 가구가 신청 접수하였으며, 이를 지역별로 보면 △서울 115가구, △부산 454가구, △대구 285가구, △인천 126가구, △광주 273가구, △대전 168가구, △울산 31가구, △경기 350가구, △강원 331가구, △충북 324가구, △충남 358가구, △경북 494가구, △경남 594가구, △전북 363가구, △전남 958가구, △제주 96가구 등이다.
‘저소득층 에너지효율개선사업’은 기초생활수급권자와 차상위계층 가운데 시·군·구로부터 추천을 받은 에너지 취약가구를 대상으로 난방물품 및 고효율기기(보일러 개체, 난방 매트, 냉장고, 가스레인지 등)을 지원하거나, 벽이나 창호 등 단열공사를 통해 에너지효율을 높여줌으로써 취약계층의 에너지비용을 원천적으로 줄여주는 사업이다.2010년 사업예산은 총 292억원으로 복권기금에서 지원되었으며, 한국에너지재단은 이 사업비로 기초생활수급가구 및 차상위 계층 43,336가구를 지원했다.
지원 가구수와 지원금액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 4,172가구(2,820,480천원) △부산 2,182가구(1,381,565천원) △대구 1,415가구(675,933천원) △인천 1,263가구(785,394천원) △광주 3,580가구(1,622,828천원) △대전 733가구(379,178천원) △울산 802가구(698,407천원) △경기 4,683가구(3,402,021천원) △강원 3,281가구(1,901,943천원) △충북 1,199가구(752,441천원) △충남 2,168가구(1,524,709천원) △경북 3,316가구(2,193,292천원) △경남 3,262가구(2,200,227천원) △전북 4,055가구(2,811,577천원) △전남 6,585가구(3,892,056천원) △제주 640가구(484,471천원)였다.
계층별로는 △기초생활수급계층이 36,098가구 △차상위계층이 7,238가구이며, 세대구성별로는 △홀몸노인 15,913가구 △노인가정 4,092가구 △소년소녀가정 494가구 △한부모가정 4,410가구, △장애인가정 7,718가구 △조손가정 1,395가구 △일반가정 7,901가구 △기타가정 1,413가구로 집계됐다.
또 이를 지원 내용별로 보면 △창호공사 15,356가구 △단열공사 11,186가구 △바닥공사 2,685가구 △보일러 지원 2,685가구 △난방매트 지원 10,151가구 △냉장고 지원 3,052가구 △가스레인지 지원 4,816가구로 나타났다.
에너지빈곤층을 위한 난방연료 긴급지원사업 추진
한국에너지재단은 지난해 11월부터 겨울철 난방연료가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주변의 이웃들에게 따뜻하게 겨울을 날 수 있도록 난방연료를 긴급 지원하고 있다.
이 사업은 SK에너지,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 등 정유4사가 조성한 사회공헌기금으로 지원되고 있으며, 18세 미만 아동이 함께 거주하고 있는 가구 중 국민기초생활수급가구 또는 차상위계층으로 난방연료가 고갈된 가구가 지원 대상이다.
난방연료 긴급지원 사업은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 사회복지 담당공무원이나 지역 사회복지기관의 복지사가 에너지 위기 가정을 파악하여 에너지재단에 지원요청을 하면 이에 대한 심사와 승인을 받은 뒤 현물로 난방연료(난방유 200L, 난방용 프로판가스50kg중 택일)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난방연료 긴급 지원사업은 오는 3월말까지 진행된다.
지난해 11월 1일부터 올해 2월 21일까지 집계결과에 따르면, 전국에서 5,320여 가구가 신청 접수하였으며, 이를 지역별로 보면 △서울 115가구, △부산 454가구, △대구 285가구, △인천 126가구, △광주 273가구, △대전 168가구, △울산 31가구, △경기 350가구, △강원 331가구, △충북 324가구, △충남 358가구, △경북 494가구, △경남 594가구, △전북 363가구, △전남 958가구, △제주 96가구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