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11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구동본 기자

dbkooi@ekn.kr

구동본 기자기자 기사모음




[에너지포럼 2020] 김경남 교수 "신남방 현지 미래수요층 노려야…韓스타트업 기업 진출 독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0.08.31 09:35

[세션3 주제발표=신남방 에너지자원 협력 방안] / 김경남 고려대 에너지환경대학원 교수

▲김경남 고려대 에너지환경대학원 교수가 28일 서울 호텔삼정에서 열린 ‘에너지포럼 2020’에 참석, ‘신남방 에너지자원 진출을 위한 협력과 지원방안’으로 주제 발표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윤하늘 기자] 김경남 고려대 에너지환경대학원(그린스쿨) 교수는 28일 "장기적인 신남방 사업을 위해서는 현지의 젊은 미래세대에 눈높이를 맞출 수 있어야 한다"며 "정부는 한국의 그린, 청정에너지, 기후변화 대응 기술 등 에너지 신기술로 무장한 스타트업 기업들이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사업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이날 서울 ‘호텔 삼정’에서 열린 ‘에너지포럼 2020’에 참석, 세션3 ‘신남방 에너지자원 협력 방안’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교수는 "신남방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ASEAN)과 인도의 총생산(GDP) 규모는 각각 2조9228억달러, 2조7168억달러에 달하는 만큼 우리나라에 신남방 에너지 사업은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신남방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인도와 아세안의 인구는 약 20억명에 달한다"면서 "국가별 인구 중간 연령을 보면 베트남 31.9세, 인도네시아 31.1세, 말레이시아 29.2세, 필리핀 24.1세로 이들 국가의 평균이 한국 43.2세보다 14세 정도 젊은 만큼 그 어느 지역보다 발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라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이에 "5세대(5G) 이동통신, 정보기술(IT), 지능형 도시(스마트시티) 등 4차 산업혁명 공동 대응을 위한 글로벌 개방형 혁신 기반(플랫폼) 구축을 위한 유망시장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신남방정책은 한반도 주변국과 함께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추진하려는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 플랫폼이자 경제 및 외교 다변화 전략이다. 아세안과 인도 등 신남방국가들과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폭넓은 분야에서 주변 4강(미국·중국·일본·러시아)과 유사한 수준으로 관계를 강화해 한반도를 넘어 동아시아, 전 세계 공동번영과 평화를 실현하고자 하는 문재인 정부 핵심 외교정책이다.

김 교수는 신남방정책의 문제점으로 핵심국가에 편중돼 있고, 정책 색채가 기존의 외교적 관습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실제 우리나라의 경우 베트남에 투자와 협력이 집중돼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 교수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미중과 현재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우리나라 경제·외교의 협력 공간을 인도와 아세안을 포함한 남방지역까지 확대하고 역내 국가 간 보완관계 강화를 해야 한다고 했다.

김 교수는 지속가능한 신남방 에너지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중장기적 방안으로 ▲유엔의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SDGs)연계 및 지방 접근 전략 ▲교육 연계 ▲미래수요층을 위한 사업 개발 ▲능동적인 정보 플랫폼 구축 및 운영을 꼽았다.

김 교수는 "시장접근적인 과거 방식에서 탈피해 그들의 현지 문제해결과 연계된 SDGs 협력 방안을 중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하게 추진해 나가야 한다"며 "아세안국가, 인도와의 에너지자원 협력방안을 모색하고 물과 에너지, 기후변화를 개별적인 요소로 보지 않고 서로 연계해 극적인 효과를 도출하는 노력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또 그는 "에너지, 자원, 환경은 대응 및 도전 현상으로 지역별, 국가별 문제점을 함께 모색하는 상생적인 자세가 필요하다"며 "살림자원, 물과 위생, 폐기물, 기후변화 대응과 적응, 대기질 등의 문제 해결과 병행할 수 있는 협력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고려대 에너지환경대학원 그린스쿨의 사례를 들면서, 현재 필리핀, 태국 등 신남방국가 16개국 총 28명의 학생이 에너지기술 정책 전문가 과정을 밟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들은 각 국가 에너지부 공무원들로 이뤄져 있으며, 이들은 그린스쿨을 졸업 한 후 각 정부 현업(에너지부)으로 돌아가게 된다. 김 교수는 "신남방국 공무원들이 한국에서 에너지 전문가 과정을 공부했지만, 아직은 후속 사업 마련이 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아쉬운 상황"이라며 "이들이 졸업 후 현업으로 돌아갔을 때, 우리 신남방 사업과 연계가 된다면 중장기적으로 후속 사업을 진행하는데 수월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 에너지사업에서 우리보다 앞서 나가는 중국, 일본과 차별화될 수 있도록 한국만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전략적인 협력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며 "아세안 국가들끼리 공감하는 협의, 합의, 비공식주의에 맞춰 협력을 추진하는 것이 한국의 차별화된 전략이 될 수 있다. 에너지 지역주의 관점에서 지역적 접근이 전략적으로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는 "사람을 중시하는 신남방정책 성격을 살려 인적 네트워크를 확대할 수 있는 한-아세안 휴먼 정보 인프라 조성이 필요하다"면서 "그러기 위해선 한국을 잘 아는, 한국을 사랑하는 현지 전문가 그룹을 주축으로 하는 민-관 합동 정보 플랫폼을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윤하늘 기자 yhn770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