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17일(수)
에너지경제 포토

김민준 기자

minjun21@ekn.kr

김민준 기자기자 기사모음




코로나로 막힌 수출 ‘K-서비스’로 뚫는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0.08.13 14:25

콘텐츠·헬스케어·핀테크 등 6개분야 집중 육성키로
3년간 4조6천억 투입…서비스 10대 수출강국 도약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민준 기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꽉 막힌 수출의 돌파구를 찾기 위해 정부가 이른바 ‘K-서비스’의 해외 진출 활성화에 나선다. 기업·시장·인프라 등 지원체계를 혁신해 콘텐츠·헬스케어 등 6대 유망 K-서비스를 집중적으로 육성해 2025년 서비스 10대 수출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제조업 중심의 지원 기준을 서비스 기업의 특성에 맞게 개편하고 핵심 수출형 서비스 산업에 2023년까지 4조6000억원의 자금을 공급하겠다"면서 "정부는 하반기 수출력 회복에 정책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최근 무역 생태계는 제품 위주에서 ‘제품+서비스’로 확장되고 콘텐츠, 지식재산권 등의 수출이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다. 특히 미중 무역 분쟁,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GVC)이 재편되고 비대면 서비스 수요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이런 무역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자 △기업애로 해소 △글로벌 경쟁력 제고 △인프라 보강 등 3개 분야를 골자로 하는 서비스 맞춤형 수출 지원 정책을 마련했다.

핵심 수출형 서비스 산업에는 2023년까지 4조6000억원의 자금을 공급하고 콘텐츠 제작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1조원 이상의 문화콘텐츠 펀드를 2024년까지 조성한다. 1000억원 규모의 ‘K-바이오 신성장 펀드 제6호’를 통해 의료 서비스의 해외투자 진출도 지원한다.

아울러 바이오·헬스, 로봇, 자동차 등 분야에서 서비스와 주력 제조상품을 결합한 프로젝트나 사업모델을 발굴해 R&D와 수출을 지원한다. 한류와 K-방역을 연계해 K-서비스의 마케팅을 강화하는 한편 하드웨어와 서비스를 연계한 ODA(공적개발원조)를 통해 패키지로 해외 진출을 촉진한다. K-서비스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에 대한 맞춤형 성장 지원과 비대면 서비스 및 핵심기술에 대한 선제적인 글로벌 표준화 작업도 이뤄진다.

특히 정부는 △콘텐츠 △의료·헬스케어 △에듀테크 △디지털서비스 △핀테크 △엔지니어링을 6대 유망 K-서비스로 정하고 분야별로 특성에 맞는 해외 진출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으로 유발된 제조·서비스 융합, 온라인 플랫폼 활성화 등이 코로나19 이후로 더욱 가속화하면서 서비스 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 여부가 우리의 미래 먹거리 창출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면서 "코로나19 대응을 통해 높아진 국격을 배경으로 서비스산업이 신수출 성장동력으로 성장하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