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전지성 기자

jjs@ekn.kr

전지성 기자기자 기사모음




한전, 해외 석탄화력발전사업 강행할 듯...26일 이사회서 결정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0.06.25 11:46

26일 한전 이사회 개최, 인도네시아·베트남 등 해외 석탄화력발전사업 추진여부 의결 예상

여당, 환경단체 "수익성 나쁘고 환경오염" 계속해 반대, 한전 "수익성 충분"

한전 "해외 사업을 통해 단순히 수익 창출만이 아니라 민간기업의 동반 성장과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

전문가 "전기요금 개편·해외석탄화력발전 투자까지 부결될 경우, 그린뉴딜·한전공대 투자는 어떻게 하나"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한국전력공사가 26일 이사회에서 해외석탄화력발전사업을 강행할 것으로 보인다. 한전은 지난해 11월과 지난 1월 이사회에서 이 안건을 의결하려다 비판론에 밀려 연기했다. 최근에도 여당과 환경단체는 한전이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서 건설을 계획하고 있는 석탄화력발전사업이 수익성이 없다며 지속적으로 반대하고 있다. 다만 한전이 이에 대해 수익성이 충분하다며 강력히 반박하고 나선만큼 이번에는 통과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여당과 환경단체들은 한전의 한국개발연구원(KDI)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베트남 붕앙-2 석탄화력발전소 사업에 대해 7900만 달러(약 958억원), 인도네시아 자와 9·10호기 투자계획은 883만달러(약 106억원)의 손실을 낼 것으로 분석됐다며 사업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한국 정부는 그린뉴딜을 추진하는 한편 베트남 붕앙-2와 인도네시아 자바 9·10호기의 신규 석탄화력발전 사업에 대한 자금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며 "지금 지구는 새로운 화석연료 발전소를 받아들일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기후악당이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서는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투자를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석탄화력발전업계 관계자는 "우리가 일방적으로 짓겠다는 게 아니고 발주한 국가의 요청에 따라 사업에 참여한 것"이라며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는 산업화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중이고 전력수요 증가세가 가파른 나라"라고 말했다. 이어 "가장 수익성이 좋은 석탄화력발전을 놓고 수익성이 약하다고 평가한 건 정치적인 입장이 들어간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그동안 석탄화력발전으로 경제성장을 이뤄온 선진국들이 온실가스를 감축한다고 개도국에게 값싼 전기를 사용할 기회를 박탈하는 것은 과연 옳은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또한 "현재 탈원전, 탈석탄 정책에다 국내외 경기로 인해 예정됐던 전기요금 개편도 어려운 상황에서 해외석탄화력발전 투자까지 부결될 경우, 그린뉴딜, 한전공대 설립에 투자할 비용은 어떻게 마련하겠다는 것인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자와 9·10호기는 인도네시아가 총사업비 35억달러(약 4조2500억원)를 들여 자카르타 인근에 건설하려는 2000MW급 초초임계압 석탄화력발전소로, 한전은 5100만달러의(약 620억원) 지분 투자와 2억5000만달러(약 3조원)의 주주대여금 보증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국내에서는 또 두산중공업이 시공사로 참여하고, 수출입은행과 무역보험공사 등 금융기관이 약 14억달러(약 1조7000억원)의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다. 붕앙-2 (Vung Ang 2) 석탄화력발전소 사업은 총 1200MW 규모로 베트남 하띤성 지역에 추진되고 있다. 전체 사업비는 약 2조5000억원 규모로 한전은 중국의 중화전력공사로부터 지분 40%(약 2200억원)를 인수해 발전소 운영에 참여할 계획이다.

한전은 수익성이 충분하다며 26일 이사회에서 사업을 의결할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한전 측은 "현재까지 해외사업을 통해 누계 매출액 35조 원, 순이익 3조9000억 원의 성과를 창출했다"며 "한전은 국내외에서 신재생사업 확대 등을 통해 환경 친화적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환경적인 측면에서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전은 아시아, 중동, 중남미, 북미,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등을 포함한 전 세계 26개국에서 47개 프로젝트를 통해 화력·원자력·신재생·송배전·신사업의 다양한 영역에서 사업 추진 중"이라며 "해외사업을 추진함에 수익창출을 최우선 목표로 하고 있고, 이를 통해 국내 전기요금 인하, 민간기업 동반성장 및 산업경쟁력 강화 기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