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양 기관은 스마트 건설기술 현장 도입을 위한 연구, 개발, 검증, 등 국내 건설기술 혁신 플랫폼 마련을 위한 유기적인 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현장연계형 스마트 건설기술 적용 기반마련을 위해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KICT가 국토교통부에서 공모 진행 중인 1969억원 규모의 도로실증을 통한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사업의 연구기관으로 선정될 경우 LH는 세부 연구과제의 기술 검증에 공동으로 참여할 수 있다.
해당사업은 △건설장비 자동화 및 관제기술 △도로구조물 스마트 건설기술 △스마트 안전 통합 관제기술 △디지털 플랫폼 및 테스트베드 등 4가지 분야로 구성됐다.
LH는 해당 사업이 가능해질 경우 기술 검증을 위한 부지를 제공하며 기술이 실제 적용된 후 시장에 조속히 확산 및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또 공공기관 주도로 건설 산업 시장 및 기술 변화 등을 고려한 단계별 기술을 개발하고, 중소·벤처기업의 연구성과를 실제 공사와 연계해 개발된 기술의 종합 적용 및 검증, 확산에 이르는 국내 스마트 건설기술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변창흠 LH 사장은 "LH는 건설분야 최고의 선도기관이며, 스마트 건설기술의 검증과 확산에 필요한 최적의 플랫폼을 가진 기관"이라며 "양 기관의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국내 스마트 건설기술 발전과 건설산업에 특화된 중소·벤처기업 역량강화를 위한 환경조성에 적극 앞장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