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기자

mediapark@ekn.kr

박성준 기자기자 기사모음




'팬더믹 공포'에 속절없이 무너진 뉴욕증시...다우지수 3.5% '급락'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0.02.25 07:54

▲뉴욕증권거래소(사진=AP/연합)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팬더믹'(세계적 대유행)으로 번지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나오면서 그간 상승세를 이어오던 뉴욕증시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뉴욕증시는 올해 상승분을 대거 반납했고 국제유가는 3% 급락했다.

24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031.61포인트(3.56%) 하락한 27,960.80에 거래를 마쳤다. 경기침체 우려가 컸던 지난 2018년 2월 8일(-1,033포인트) 이후로 2년만의 최대 낙폭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11.86포인트(3.35%) 하락한 3,225.8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55.31포인트(3.71%) 내린 9,221.28에 각각 마감했다.
   
앞서 작년 말 다우지수는 28,538.44에, S&P500지수는 3,230.78에, 나스닥지수는 8,972.60에 거래를 마쳤다. 즉 나스닥을 제외하면 뉴욕증시가 올해 들어 상승분을 반납하고, 작년말 수준으로 되돌아간 셈이다. 

투자자들은 코로나19가 진앙 격인 중국의 범위를 넘어섰다는 데 주목했다. 
    
지금까지는 세계 2위 경제대국인 중국의 경제적 타격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제는 한국, 이탈리아 등 중국 밖으로 우려를 넓히고 있다. 이에 주요 경제매체는 최근 환자가 급증한 한국, 이탈리아, 이란의 사례를 거듭 언급했다. 로이터통신은 "팬더믹 공포가 월스트리트를 지배했다"고 전했다.

CNBC 방송의 간판앵커 짐 크레이머는 트위터에 "나는 증시에 대해 매우 비관적이다. 미국이 중국 여행객들을 성공적으로 막고 있다는 것만으로 낙관하기는 어렵다. 많은 다른 나라들에도 코로나19 환자들이 있다"고 지적했다. 
    
NBC방송은 "한국이 위기 경보를 최고 수준인 '심각'으로 격상하고 이탈리아에서 환자가 크게 늘면서 뉴욕증시의 월요일 매도세로 이어졌다"고 전했다.
    
그럼에도 세계보건기구(WHO)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이 바이러스가 팬더믹 가능성을 지니고 있느냐? 물론이다"라며 "우리가 거기에 도착했는가? 우리의 평가에 따르면 아직 아니다"라고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코로나19 사태가 글로벌 경제에 타격을 가하고, 원유 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서 국제유가도 급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4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보다 배럴당 3.7%(1.95달러) 하락한 51.4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달 8일 이후로 최대 낙폭이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4월물 브렌트유도 오후 3시30분 현재 3.78%(2.21달러) 내린 56.2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반면 국제금값은 강세를 이어갔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금은 온스당 1.7%(27.80달러) 상승한 1,676.6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2013년 2월 이후로 7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은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