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연 워킹그룹, 에너지전환 정책 이행, 친환경·분산형 전원믹스 개선을 위한 중장기 석탄감축 로드맵 제시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 전력시장 제도개선 및 미래산업 트렌드 반영 전력수요전망 등 제안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하 9차 계획) 5대 추진방향이 공개됐다. 27일 9차 계획 수립을 위한 자문 기구인 총괄분과위원회(위원장 유승훈)는 그간 전문가 워킹그룹을 중심으로 마련한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5대 추진방향’을 정부에 제안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이날 전력정책심의회를 개최, 워킹그룹이 제안한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전문가 워킹그룹이 제안한 ‘5대 추진방향’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에너지 전환정책 이행과 친환경·분산형 전원믹스 개선을 위해 석탄발전감축 중장기 로드맵 마련이다. 워킹그룹은 노후석탄발전의 LNG 적기 대체건설과 2040년 기준 분산전원 발전비중 30% 달성을 위한 구체적 이행방안 포함을 제안했다.
둘째로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대응 등 전환(발전 및 열)부문 온실가스 추가 감축을 위해 실현가능한 구체적 방안 마련이다.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이후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기본로드맵 수정안’에서 전환 부문 추가감축 잠재량 3410만톤을 제시했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 방안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셋째, 재생에너지의 안정적 확산을 위한 출력변동성 대응과 입지·계통간 연계방안 마련이다. 워킹그룹은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제시한 2040년 재생에너지의 발전비중 30∼35%로 확대 목표 달성을 위해 백업설비 전원 확보와 함께 재생에너지 설비 계획단계에서부터 계통여건과 보강계획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넷째, 미래 전력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시장제도개선이 병행이다. 워킹그룹은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 및 친환경 에너지 확대를 위한 실시간 및 보조 서비스 시장 개설 검토를 요청했다.
끝으로 워킹그룹은 "전력 수요전망은 GDP, 인구, 기온전망 등 기본고려 요소와 함께 전기차, 5G 전환, 스마트 공장 및 스마트 시티 확산 등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사회 트렌드까지 균형 있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며 "또한 수요관리 수단의 이행력을 강화하고, 최대전력 수요의 효과적인 절감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산업부는 워킹그룹이 제안한 ‘5대 추진방향’을 면밀히 검토한 후 이해관계자와의 충분한 의견수렴을 거쳐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적극 반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EE칼럼] 새정부의 “핵심광물 확보 전략” 성공 조건](http://www.ekn.kr/mnt/thum/202507/news-a.v1.20240904.0066f456bc57489fb8c9d7d3379d316e_T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