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지난달 자동차 내수 판매가 8개월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반면 일본 브랜드 차량의 국내 판매는 2개월 연속 지난해 대비 ‘반토막’난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9월 국내 자동차 산업 실적을 분석한 결과 작년 같은 달 대비 내수는 4.1% 증가했으나 생산은 4.8%, 수출은 4.8% 각각 하락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7일 밝혔다.
내수는 국산차가 1.0%, 수입차가 22.5% 증가해 전체적으로는 4.1% 늘어난 13만 3016대를 팔았다. 올해 내수는 지난 1월 1.5% 증가한 이후 2월(-4.2%)부터 8월(-6.3%)까지 계속 감소세를 보였다.
국산차 판매(11만 465대)의 증가는 기아차의 셀토스·모하비, 르노삼성 QM6, 현대차 베뉴 등 다양한 차급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신차가 출시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수입차의 경우 일본이 수출규제를 단행한 지 석 달째를 맞은 가운데 일본 브랜드 차량의 전년 동기 대비 판매량이 8월 56.9% 급감한데 이어 지난달엔 59.8% 빠졌다.
브랜드별로 보면 토요타는 61.9%, 혼다는 82.2%, 인피니티는 69.2%, 닛산은 68.0% 줄었다. 토요타의 고급 브랜드인 렉서스만 49.8% 늘었다.
독일 브랜드는 신차 효과 등에 힘입어 벤츠가 296.7%, BMW가 107.1% 늘고 아우디는 16.0% 줄었다.
신차효과에 따른 내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자동차 생산량은 한국지엠 파업으로 인해 지난해 9월보다 4.8% 적은 27만 7990대에 그쳤다. 한국지엠의 경우 지난해보다 46.7% 감소한 1만 7491대를 생산했다.
수출은 상용차 수출 부진 등으로 4.8% 줄어든 17만 1425대로 집계됐다. 다만 수출금액은 수출단가가 높은 SUV와 친환경차의 수출확대가 지속하면서 지난해보다 4.0% 늘어난 30억 8000만 달러(약 3조 6500억 원)를 달성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출금액 기준 유럽연합(EU)은 22.6%, 동유럽은 1.7%, 아시아는 7.0%, 중동은 36.9% 증가했다. 대신 북미는 1.5%, 중남미는 25.5%, 아프리카는 33.1%, 오세아니아는 4.5% 줄었다.
친환경차 내수는 9656대가 팔려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3% 증가했다. 수출도 2만 4808대로 82.7%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