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전지성 기자

jjs@ekn.kr

전지성 기자기자 기사모음




원자력환경공단 대국민 소통 강화…'전문인력 영입'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9.10.07 09:44

지난달 이사회서 비상임이사 증원 추진안 통과

▲직원들이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인수 여부를 검사하는 모습. (사진=한국원자력환경공단)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 소통 역량을 가진 전문인력을 뽑으며 방폐물 사업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원자력환경공단은 지난달 27일 이사회에서 비상임이사 증원 추진안을 의결했다. 

증원 수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현행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은 기관장을 포함해 총 15인으로 이사회를 구성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원자력환경공단은 현재 기관장 1명, 상임이사 1명, 비상임이사 5명, 비상임감사 1명 등 총 8명이 이사회에 있다.  

원자력환경공단 측은 "방폐물 관리 사업 추진을 위해 소통 홍보 역량을 보유한 전문 인력을 뽑겠다"고 밝혔다. 안전성 논란이 끊이지 않는 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방폐장) 사업과 관련 인근 주민과 소통을 강화해 방폐물 안전에 대한 신뢰를 높이겠다는 것이다. 

원자력환경공단이 운영하는 경북 경주 방폐장은 작년 말부터 폐기물 반입을 못하고 있다. 방폐장에 보관하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 중 80%가 넘는 2111드럼에서 3260건의 핵종 분석 오류를 발견해서다. 

경주시 월성원전·방폐장 민간환경감시기구와 시의회는 폐기물 반입·처분 중단을 요구했고 공단, 지역 주민 등과 함께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조사를 진행 중이다. 

지역 주민들의 반대와 안전성 문제로 경주 방폐장의 2단계 처분시설 건설도 늦춰지고 있다. 당초 2012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로 예정됐던 사업 기간은 2021년 12월로 5년이나 지연됐다.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인허가를 받지 못하면서 준공일은 여러 차례 변경됐다. 현재까지 본공사를 착수하지 못해 지난해 건설사업비 532억8300만원 중 약 30%에 해당하는 164억2500만원만 집행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