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0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이현정 기자

kotrapeople@ekn.kr

이현정 기자기자 기사모음




"부족한 전력계통, 선제적 대비해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9.08.20 15:40

▲신재생설비 [사진제공=위키피디아]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정 기자] 신재생에너지 전력계통의 인프라 부족이 신규 투자 유인을 위축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계통 설비 부족에 따라 발전사업 개시가 더뎌지고 전력판매가 지연되기 때문이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인 계통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KDB미래전략연구소 산업기술리서치센터 자료에 따르면 전력계통 인프라 부족으로 계통연계가 지연되는 태양광 풍력 발전사업 수가 최근 급증하고 있다. 2018년 기준 계통연계 초과용량은 약 2.4기가와트(GW)이며 95%이상이 태양광이다. 특히 영호남 지방의 경우 동기간 계통연계 초과용량은 2.1GW로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캡처

이같이 전력인프라 부족 현상이 해소되지 않는 까닭은 전력계통 설비 확충 속도가 신재생에너지 보급 속도에 비해 느리기 때문이다.

계통연계 설비 증설은 계획·예산 수립에 1년, 배전선로 및 변전소 건설 등에 7년 가량이 소요되고 한전이 독자적으로 수행하고 있어 진행이 더디다. 반면 태양광 발전의 경우 계약 시점부터 준공까지 평균 8∼12개월 소요돼 발전소 건설기간은 상대적으로 짧다.

또한 소규모 발전소 계통연계보장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지원정책도 계통연계 접속신청 건수를 급증시켰다.

2016년 1MW이하 소규모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가 계통연계 신청 시, 한국전력 부담으로 변전소의 변압기 등 공용전력망 보강해 망 접속을 보장하는 내용의 ‘1MW이하 소규모 신재생발전 전력망 접속 보장’ 제도가 시행됐다. 2018년 태양광 발전소 계통연계 신청 건수는 4만3827건인데 비해 완료 건수는 4706건으로 신청 건수의 11%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계통 설비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태양광·풍력 상세 입지계획을 마련하고 예정입지에 선제적으로 송·변전설비 건설 추진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현재 태양광·풍력의 경우 대규모 화력발전소 설치계획 등과 달리 위치, 규모, 연계 시점 등 구체적인 정보가 없어 선제적인 계통 인프라 투자가 어렵다. 이에 계획입지제도와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활성화를 통해 예정입지에 선제적으로 송·변전설비 투자를 확대해 계통연계 지연을 사전에 방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함께 신재생에너지용 분산형 소규모 변전소 도입 확대도 언급됐다.

한전이 도입 검토 중인 신재생에너지 전용 변전소는 민간 발전사업자들이 접속전압이나 규모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분산형 전원의 특성에 맞는 신재생에너지 전용 송·배전시스템이 신규로 도입되면 대규모 송전선로 건설 최소화로 민원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