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민준 기자

minjun21@ekn.kr

김민준 기자기자 기사모음




韓 제조업 경쟁력 우위 상품군 수, 日의 52%·獨의 35%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9.08.18 11:15

한경연, 1000대 제조업 수출상품군 ‘품질경쟁력 우위’ 국제 비교
가격경쟁력 우위 상품군 많지만 품질경쟁력 열위 제품 훨씬 많아
"주요 소재부품 분야도 품질·가격 열위…R&D 효과 창출 정책 절실"

[에너지경제신문 김민준 기자] 우리나라 제조업 수출경쟁력 분석 결과 ‘품질경쟁력 우위’ 상품군의 숫자가 일본, 독일에 비해 현저하게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8일 ‘제조업 수출경쟁력 점검과 국제비교’ 보고서를 내고 "2018년 기준 1000개 제조 수출상품군 중 ‘품질경쟁력 우위’로 판단되는 제조 수출상품군의 수는 우리나라가 156개로, 일본의 51.8%, 독일의 35.4%에 불과했다"고 발표했다.

보고서는 수출입단가를 계산해 이를 기초로 수출상품의 경쟁력을 ‘품질’과 ‘가격’의 측면에서 분석했다. 수출경쟁력을 ‘품질경쟁력 우위’ ‘가격경쟁력 우위’ ‘가격경쟁력 열위’ ‘품질경쟁력 열위’의 네 범주로 분류해 우리나라와 제조강국인 일본과 독일의 1000대 제조 수출상품군의 수출경쟁력을 비교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1000대 제조업 수출상품군 중 ‘품질경쟁력 우위’를 가진 상품군의 숫자는 2018년 기준 156개로 일본의 51.8%, 독일의 35.4%에 불과했다.

수출가격이 세계 시장가격(수입가격)보다 낮으면서 무역수지가 양(+)인 ‘가격경쟁력 우위’ 상품군의 수는 우리나라가 일본, 독일에 비해 약 1.6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출가격이 수입가격보다 낮으면서도 무역수지가 음(-)인 ‘품질경쟁력 열위’ 상품군의 수도 우리나라가 훨씬 많아 일본의 약 2배, 독일의 약 4배에 달했다.


◇ 한국·일본·독일 제조업 1000대 수출품목 수출경쟁력 평가   (단위 개)
경쟁력 구분 한국 일본 독일
2017년 2018년 2017년 2018년 2017년 2018년
품질경쟁력 우위 165 156 303 301 432 441
가격경쟁력 열위 355 363 432 434 333 347
가격경쟁력 우위  221 217 135 134 139 139
품질경쟁력 열위  259 264 129 130 70 65


한경연 이태규 연구위원은 "노동비용 상승을 포함해서 제조비용이 갈수록 증가하는 우리나라로서는 보다 많은 상품에서 품질경쟁력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면서 "고품질 상품 중심의 수출구조를 가진 일본과 독일의 제조경쟁력을 품질경쟁력 우위의 상품 수가 많고 품질경쟁력 열위의 상품 수가 적다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일본과의 경제갈등으로 관심사로 떠오른 소재·부품·기초장비 부문의 취약성도 수출경쟁력 분석에서 확인됐다. 보고서는 전자공업에 쓰이는 화학품, 정밀공작기계, 반도체 장비 및 부품, 기계부품, 광학기기, 정밀측정기기 등 중요 상품군에서 우리나라는 ‘가격경쟁력 열위’ 또는 ‘품질경쟁력 열위’인 반면, 일본과 독일은 이들 품목에서 대부분 ‘품질경쟁력 우위’ 또는 ‘가격경쟁력 우위’의 수출경쟁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 연구위원은 "특히 일본의 경우 이들 소재·부품·기초장비 상품군에서 수출규모로도 우리나라를 압도한다"면서 "중소·중견기업의 R&D 투자 확대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단순히 R&D 투자 규모의 확대가 아니라 R&D 투자의 효과 창출이 중요하다"고 언급하며 "중소기업 R&D 성공률은 95% 이상인데 실제 사업화율은 50%가 채 안 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는 만큼 정부가 중소·중견기업 R&D를 지원함에 있어 R&D 프로젝트가 반드시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성과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