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자력발전소 이용율(%) (자료=한수원) |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올 들어 원자력발전소 이용률이 늘어나면서 한국전력공사(대표 김종갑)의 실적이 소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7~8월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 완화, 한전공대 설립 추진 등으로 재정부담은 여전히 클 것으로 예상된다.
24일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2분기 원전 이용률은 82.8%로 지난해 같은 기간(62.7%)보다 큰 폭으로 올랐다. 정용훈 카이스트 교수는 "전력 생산 단가가 저렴한 원전이용율이 10∼20% 늘어나면 한수원의 연간 수익이 1조 3000억 가량 늘어난다"며 "정부가 전기요금 인상이 없다고 못박은 상황에서 사실상 실적개선을 위한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실제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최근 국회에서 ‘탈원전 때문에 2018년 한수원이 적자를 봤다’는 지적에 "지난해에는 적자를 봤지만 1분기에는 원전이용율 증가로 4000억 원 넘게 흑자를 냈다"고 말한 바 있다. 한편 산업부 측은 "지난해 가동률이 일시적으로 낮아진 이유는 과거 원전의 부실시공 때문에 2016년 6월부터 정비작업에 들어간 영향"이라며 "정비가 마무리 돼 다시 원래대로 가동률이 늘어난 것이지 한전 적자를 메우기 위해 가동을 늘린 게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증권가에서는 원전 이용률 증가에도 불구하고 한전이 3000억 원대의 영업손실을 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삼성증권은 3188억 원, 유진투자증권 3150억 원, 신한금융투자 3178억 원의 적자를 예상했다. 유재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원전 이용률이 지난해에 비해 크게 늘어나면서 영업손실 규모가 줄어들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2분기 이후 예방정비 증가로 원전 이용률은 하락하고, (여름철) 주택용 누진제 완화 조치는 3분기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여전히 수천억대의 적자가 예상되지만 지난해 2분기의 6871억 원에 비해서는 크게 개선된 전망치다. 다만 한전은 최근 전기요금을 가구당 평균 월 1만원 정도 할인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3000억 원 규모의 추가 비용을 부담하게 돼 실적개선이 무색한 상황이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탈원전을 주장하는 정부가 원전이용율을 늘려 번 돈을 전기요금을 깎아주는데 쓰는 모순적인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전은 2022년 3월 개교를 목표로 하는 한전공대에 7000억 원 정도의 재정을 투입해야 한다"며 "정부는 개교 이후 후속 시설 재원을 부담한다는데 아직 지원규모도 확정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한편 한전 김종갑 사장을 비롯한 임원들은 소액주주들로부터 계속되는 적자로 인한 배임혐의로 검찰에 고발된 상태다. 한전은 다음 달 중순경 2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한전 관계자는 "증권사 전망치는 말 그대로 전망일 뿐 정확한 수치는 실적발표전까지 알 수 없다"며 "한전은 원전이용률 외에도 재무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전은 분기마다 1조~4조원의 영업이익을 내왔지만 2017년 4분기부터 작년 3분기를 제외하고 분기마다 영업손실을 냈다. 올 1분기에는 분기 사상 최대인 6299억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