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기자

yes@ekn.kr

여헌우 기자기자 기사모음




르노삼성 노사, 임단협 11개월 만에 잠정합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9.05.16 16:16
2019051501000614600025291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르노삼성자동차 노사가 11개월간 끌어온 2018년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협상에서 합의점을 찾았다. 공장 가동률 하락 등 갈등에 따른 부작용이 속출하자 40시간 동안 밤샘 협상을 벌여 한 발씩 양보한 것이다. 노조는 오는 21일 조합원 찬반투표를 벌여 최종 승인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최악의 상황’은 면하는 양상이지만 향후 전망이 밝지만은 않다는 분석이다. 당장 올해 임단협 협상을 시작해야 하는 만큼 또 양측 갈등의 골이 깊어질 가능성이 커 보인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르노삼성 노사는 29차 본교섭에서 밤샘 협상을 벌여 이날 새벽 임단협에 잠정 합의했다. 잠정 합의안에는 노사 간 견해차가 컸던 사안들이 대거 포함됐다. 인사제도와 외주·용역 전환 문제를 비롯해 성과급 추가 등 안건이 대표적이다.노사는 우선 임금은 기본급은 동결하기로 했다. 대신 보상금으로 100만 원을 지급하며 중식대 보조금을 3만 5000원 올리기로 했다. 성과급은 총 976만 원에 생산성 격려금 50%를 지급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혔다.

배치전환과 관련해서 노사는 ‘전환배치 프로세스를 도입하고 단협 문구에 반영한다’는 합의안을 도출했다. 노조는 단협의 외주분사와 배치전환 규정을 ‘노사 간 협의’에서 ‘합의’로 바꾸자고 요구한 바 있다. 반면 사측은 전환배치를 합의로 바꾸는 것은 인사경영권 침해라며 수용할 수 없다고 반대해왔다. 접점 마련을 위해 사측이 일정 수준 양보했다는 평가다.

주·용역 전환과 관련해서는 ‘노사 일방 요구 시 분기별 1회 정기회의가 개최될 수 있도록 공동 노력한다’고 뜻을 모았다. 이와 관련해서는 노사가 조금씩 양보한 수준으로 분석된다.

양측은 이밖에 주간조의 점심시간을 45분에서 60분으로 연장하고 근무강도 개선위원회를 활성화하기로 했다. ‘수출 물량 확보를 통한 2교대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한다’는 부가안건도 합의했다.

르노삼성 노사는 지난해 6월 2018년 임단협 협상을 시작했지만 의견 차이가 커 극심한 갈등을 겪어왔다. 협상 과정에서 노조 집행부가 바뀐 영향이 컸다. 지난해 12월 강성 성향의 집행부가 들어선 이후 노조는 부분파업을 계속해서 펼치며 사측을 압박했다. 회사 측 협상 대표도 두 차례나 교체됐다.

노조는 당초 기본급 인상과 시간당 생산량 감축 등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다만 그럴 경우 르노그룹 내 글로벌 생산성 경쟁에서 크게 뒤쳐질 수 있다는 시장의 지적이 잇따랐다. 노조는 작년 10월 이후 총 62차례 부분파업을 벌였다. 누적 파업 시간은 250시간에 달해 생산 차질에 따른 손실액이 3000억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