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권세진 기자

cj@ekn.kr

권세진 기자기자 기사모음




'수소사업 추진 로드맵’ 발표 이후…수소산업 유치전 시작되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9.05.02 08:16
수소

▲한국가스공사, ‘수소사업 추진 로드맵’ 발표 [사진제공=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권세진 기자] 한국가스공사가 최근 ‘수소사업 추진 로드맵’을 발표해 수소산업에 대규모 투자를 결정한 가운데, 지자체들이 수소산업 관련시설 유치를 위한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편 수소연료전지발전소 건립 등과 관련해 주민들은 안전문제를 이유로 반대의사를 표시해 갈등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지자체들은 주요 수소 거점도시로서 생산시설 입지 선정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가스공사가 초기 수소 생산·운송 인프라 구축 과정에서 수요가 많은 국내 거점도시를 우선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가스공사가 2030년까지 본격적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4조7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한 가운데 2022년까지로 예정된 초기 단계에는 국내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수소 생산시설 9곳이 들어선다. 배관망은 서울과 전국 5개 광역시에 100km가 설치될 예정이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아직 초기 수소 생산시설 입지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수소 수송 비용 등을 감안하면 수요가 많은 곳에 인접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수소콤플렉스·수소차 생산라인 유치 본격화

수소콤플렉스는 한 곳에만 설립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져 대구 등 각 지자체가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수소콤플렉스는 수소유통센터, 수소연구센터, 수소 충전 실증사업과 교육·홍보관을 포함한 수소산업 전반을 다루는 곳으로, 2025년까지 10조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앞서 가스공사는 대구 외에도 울산, 광주 등 여러 지방자치단체가 유치전에 뛰어들면서 과열 경쟁 조짐을 보이자 수소콤플렉스가 여러 곳에 들어설 수도 있다며 진화에 나선 바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수소콤플렉스 입지는 앞으로 지자체 제안서를 받아본 뒤 논의를 거쳐 결정할 예정이다. 아직 아무 것도 논의된 바 없다"고 말했다.

충남도는 현대 수소차 생산라인 유치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양승조 충남지사는 현대자동차 아산공장에 수소차 생산라인 설치를 요청했다. 양 지사는 "아산은 수도권과 접근성이 뛰어나고 인근에 당진·평택항이 있어 물류 수송 여건이 탁월하다"며 "충남도는 2016년 ‘수소전기차 부품 실용화 및 산업 기반 육성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기술 개발을 추진 중이며, 지난달에는 ‘충남 수소 경제 로드맵과 비전’을 선포하는 등 수소 경제 사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입지적 장점을 적극 홍보했다. 현대차는 연간 50만 대 규모 수소차 생산을 목표로 2030년까지 7조6000억원을 들여 주요 부품 협력업체 124곳과 함께 연구·개발, 설비 확대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는 ‘안전문제’로 주민 반대 부딪혀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유치도 한창이다. 전남도는 국내 최대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를 전남 장흥산단에 세우기 위한 1조2000억원 규모 투자협약을 했다. 아이티에너지와 서부발전이 컨소시엄을 이뤄 2023년까지 전남 장흥산단 7만 5천213㎡ 부지에 200MW 규모의 LNG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를 건립한다.

한편, 주민들이 안전문제를 이유로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립에 반대하고 나서 갈등이 예상되기도 한다. 인천시 동구에 따르면 지난 27∼28일 19세 이상 주민 5만 4652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1만8072명(33.07%)이 참여해 이 중 96.76%에 달하는 1만7487명이 연료전지발전소 건립에 반대했다. 인근 주민들은 발전소 예정 부지가 주거 밀집 지역과 200m도 채 떨어져 있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사업이 일방적으로 추진됐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현재 동구는 사업과 관련한 모든 행정 절차를 중단한 상태이지만, 사업 주체인 인천연료전지는 주민과 대화가 이뤄지지 않아도 이른 시일 안에 공사를 재개하겠다는 입장이어서 갈등이 예상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