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남 김홍일 전 민주당 의원이 20일 오후 5시쯤 별세했다. 향년 71세. 사진은 지난 1996년 4월 16일 국민회의 당선자대회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 전 의원이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 |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남 김홍일 전 민주당 의원이 향년 71세를 일기로 20일 오후 5시께 별세했다. 여야는 별세한 김홍일 전 의원의 생전 업적을 기리며 애도의 뜻을 표했다.
앞서 소방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8분께 서울 마포구 서교동 자택에서 김 전 의원이 쓰러졌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이후 김 전 의원은 신촌세브란스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오후 5시 4분께 사망 판정을 받았다.
김 전 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전신인 새정치국민회의와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15·16·17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최근 파킨슨병이 악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의원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독재에 맞선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사건 배후로 지목돼 고초를 겪었고, 1980년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당시 공안당국으로부터 모진 고문을 당하기도 했다. 이 때의 고문 후유증으로 건강에 이상이 생겨 목디스크 수술을 받는 등 고통을 받았고, 파킨슨병까지 얻게 됐다.
김 전 의원은 1996년 15대 총선에서 전남 목포·신안갑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당선돼 국회에 입성했으며, 재선 의원 시절 파킨슨병이 발병해 보행에 불편을 겪었다.
김 전 의원은 지난 2009년 8월 김 전 대통령 서거 당시 휠체어에 탄 채로 영결식에 참석한 바 있다.
![]() |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남 김홍일 전 민주당 의원이 20일 오후 5시께 별세했다. (사진=연합) |
한편, 여야는 이날 자유한국당의 장외투쟁과 '색깔론' 발언을 놓고 날카롭게 대립했지만 민주화 운동에 큰 족적을 남긴 고인 앞에서는 일제히 고개를 숙였다.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고인은 1980년 ‘민주연합청년동지회(연청)’를 결성하고 본격적으로 정치에 입문해 평생 아버지 김대중 대통령의 든든한 후원자가 됐다"면서 "1997년 대선에서 고인은 김대중 대통령 당선과 평화적이며 수평적 정권교체를 통한 새로운 민주주의 역사를 만드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고 애도했다.
이어 "김대중 대통령님과 함께 우리나라 민주주의와 한반도 평화 통일에 헌신한 고인의 숭고한 뜻을 기리며 김 전 의원의 "영면을 기원한다"고 전했다.
자유한국당 민경욱 대변인은 구두 논평에서 “김 전 의원의 국가를 위한 애국심과 생전 의정활동에 대해 알고 계시는 많은 국민들이 크게 안타까워할 것”이라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밝혔다.
김정현 민주평화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고인은 생전에 김대중 대통령의 장남이자 정치적 동지였다"며 "암울하던 시절 민주연합청년동지회를 결성해 이 땅의 민주화운동과 김대중 대통령 당선에 큰 힘을 보탰다"고 고인을 추억했다.
이종철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구두논평을 통해 "김 전 의원은 아버지이자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거목이신 김대중 전 대통령과 함께 민주화의 역경과 고난을 함께 하신 분"이라며 "군부의 고문 후유증으로 투병해온 사실에 더욱 애통함과 슬픔이 크다"고 애도했다.
그는 이어 "대한민국 모든 국민으로부터 존경받는 아버지 곁에서 민주화 선구자로서 편안히 영면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호진 정의당 대변인도 구두논평에서 "박정희·전두환 독재정권에 의해 고문 등 갖은 고초를 겪었지만 민주화를 향한 고인의 의지는 꺾지 못했다"며 "민주화를 꽃피우는데 헌신한 김 전 의원의 영면을 기원한다"고 전했다.
김 전 의원의 빈소는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특1호실에 차려졌다. 발인은 오는 23일 오전 7시, 장지는 5·18 국립묘지다.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