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달 9일 오전 3시 10분께 인천 옹진군 백령도 남남서쪽 76㎞ 지점에서 규모 3.7의 지진이 발생했다.(사진=연합) |
[에너지경제신문 나유라 기자] 지난해 포항 지진 여파로 한반도와 그 주변 바다에서 발생한 지진이 관측 이래 세 번째로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13일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반도와 그 주변 바다에서 발생한 지진은 총 115회였다.
기상청이 지진을 관측하기 시작한 1978년 이래 가장 많은 지진이 일어났던 해는 2016년(252회)이다. 이어 2017년(223회), 지난해 순이다.
2016년 9월 12일 경북 경주에서는 1978년 이래 가장 강력한 규모 5.8의 지진이 일어났다.
이어 2017년 11월 15일 경북 포항에서는 두 번째로 강력한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난해 역대 세 번째로 많은 지진이 일어난 것도 포항 지진의 영향이 컸다.
지금까지 포항 지진의 여진은 총 100회 발생했는데, 이것이 작년 초에 집중된 것이다.
지난해 발생한 가장 강력했던 지진은 2월 11일 포항 북구 북서쪽 5㎞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4.6으로, 이 역시 규모 5.4 지진의 여진이었다.
지난해 발생한 지진을 규모별로 살펴보면 4.0대가 1번, 3.0대가 4번, 2.0대가 110번이다.
기상청이 아날로그 방식으로 지진을 관측한 1978∼1998년 연평균 지진은 19.2회였다. 1999년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하면서 관측되는 지진이 급증했다. 1999∼2018년 연평균 지진은 69.95회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