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난방시스템 도입한지 30년 지난 시점, 현황과 근본 문제점 짚어봐야
-당장 낡은 열수송관 모두 교체하기에는 비용과 시간, 기술, 방법 모두 마땅치 않아
-소비자 시설에서 열수송관 내 온도·압력변동 조절할 수 있어야
![]() |
▲한국지역난방공사는 20년 이상 된 열수송관 교체과 보수공사를 추진하고 있다. 최근 점검에서 이상 징후가 발견돼 보수가 이뤄진 분당구 수내동 내정교 하부 열 수송관. (사진=연합) |
최근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열수송관이 연이어 파열되는 사고가 발생하자 근본 구조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현재 한국의 지역난방 시스템은 공급자 관점에서의 문제해결에 급급한 나머지 소비자와 소통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 지역난방 시스템은 합리적 운영보다는 안정성 확보에 급급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돼 있다는 게 전문가 진단이다. 대규모 주거단지에 공급되는 만큼 공급에 차질이라도 생기면 소비자 불만으로 사회문제가 될 수 있어 시설 운영의 유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시급한 문제로 열수송관 노후화로 비춰지고 있어 지역난방공사는 대대적 교체작업에 돌입한 상황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현실적으로 낡은 열수송관을 모두 바꾸기에는 비용과 시간이 만만치 않고, 손상된 부위를 정확히 찾아내 수선할 수 있는 기술과 방법도 마땅치 않다고 지적한다. 소비자 시설에서 직접 열수송관 내부의 불규칙한 온도와 압력변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 소장인 이태원 박사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열공급배관시스템으로는 배관을 교체해도 사고가 재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수많은 소비자 시설에서 열수송관 내 압력변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 불규칙한 운전으로 열수송관 내 압력과 온도가 급상승하는 상황을 예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체 열수송관을 교체하는 것보다 소비자 시설에서의 제어장치 개선이 열수송관의 잦은 고장을 해결하는 보다 근본 해결방안이라는 의견이다.
현재 국내 지역난방 시스템은 열수송관을 통해 보내진 난방수가 소비자 건물 등에 설치된 열교환기에서 열을 전해준 뒤 되돌아가는 구조로 돼 있다. 이후에는 소비자가 알아서 관리해야 한다. 결국 이 연결지점에서 관리에 허점이 있을 수 있고 그에 따른 폐해가 적지 않다. 수많은 소비자 사용 여부에 따라 열수송관 상태가 매우 불안정해진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사업자는 난방수를 더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공급하는 악순환이 되풀이된다.
그리고 기존 노후배관의 교체 및 유량과 압력의 효율적인 제어가 필요하다고 했다. 또한 "이를 통해 불가피한 사고가 발생한다 해도 피해를 훨씬 줄일 수 있고 열 운반에 필요한 동력과 수송관을 통한 열손실도 크게 줄일 수 있어 시설 안정적 운영과 에너지 절약을 모두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