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카타르 정부가 내년 1월 1일부로 석유수출국기구(OPEC)를 탈퇴한다고 3일(현지시간) 밝혔다.
사드 알카비 카타르 에너지부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카타르의 국제적 역할을 증진하기 위한 장기 전략을 검토한 결과 OPEC을 탈퇴하기로 결정했다"고 선언했다.
그는 "카타르는 천연가스 생산이 집중할 계획으로 탈퇴 뒤 OPEC의 합의를 따르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걸프지역의 산유 부국 카타르는 원유를 생산하긴 하지만 올해 10월 기준 하루 평균 61만 배럴을 만들어 비중이 큰 편은 아니다. 대신 액화천연가스(LNG) 생산량은 전세계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이를 원유로 환산하면 하루 평균 480만 배럴로 OPEC 2위 산유국 이라크와 맞먹는 수준이다.
카타르는 지난해 테러단체를 지원한다는 이유로 사우디아라비아가 주도한 단교·봉쇄 조치에 맞서 사우디 측의 요구(친이란 정책 폐기)에 굴하지 않고 독자적인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
카타르의 이날 OPEC 탈퇴도 이 단체를 사실상 좌우하는 사우디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에너지 정책을 펴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카타르가 빠지면서 OPEC 회원국은 14개국이 됐다. 카타르는 OPEC이 설립된 1961년 가입한 창립 멤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