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5일(목)
에너지경제 포토

한상희 기자

hsh@ekn.kr

한상희 기자기자 기사모음




막 오르는 전기차 시대, 폐배터리 활용한 ESS 시장 커진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8.07.05 16:17

▲양재동 현대차 본사. (사진=연합)


[에너지경제신문 한상희 기자] 전기자동차(EV)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면서 전기차 폐배터리 시장도 커지고 있다. 특히 폐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로 활용하는 방안이 각광받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전기차는 오는 2025년에는 1100만대, 2030년에는 3000만대, 2040년에는 6000만대로 전체 차 판매량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는 엄격한 검증을 거쳐 출시돼 ‘폐배터리’가 돼도 활용도가 무궁무진하다. 7~15년 가량 운행한 전기차 배터리는 재활용할 경우 초기 용량의 70~80% 수준에서 재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얄려져 있다. ESS로 용도를 전환할 경우 10년이상 사용이 가능하다.

ESS란 생산된 전력을 저장한 뒤 필요할 때 공급하는 에너지 저장장치다. 가정 및 산업용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고 전력 수급 안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에너지 시장분석 업체인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에 따르면 EV 배터리 물량은 2016년 0.1GWh에서 오는 2025년까지 29GWh로 급증할 전망이다. 이 가운데 10GWh에 달하는 양이 ESS에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10GWh는 2만 8000가구(4인 기준, 가구당 월평균 전력소비량 350kWh 기준)가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시장조사업체 네비건트 리서치에 따르면 중고 배터리 거래가 점진적으로 활성화될 경우 관련 시장 규모는 2015년 1600만달러(약 179억원)에서 2035년에는 30억달러(약 3조 3600억원)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이미 완성차 업체들은 배터리 리스, 교환 등 전기차 판매와 연계된 다양한 서비스 등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보여왔다. 최근에는 현대자동차 역시 ESS 시장 진출 의사를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6일 전기차 배터리를 활용한 ESS 개발을 본격화해 신에너지 시장에 새롭게 진출한다고 발표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를 위해 세계적인 에너지기업인 핀란드의 ‘바르질라사’와 전략적 파트너십 협약도 체결했다. 바르질라사와의 파트너십 협약을 토대로 △ESS 설계 및 제작 기술 확보 △설치 및 운영 경험 축적을 한 뒤 전기차 개발 및 판매, 재활용 배터리 회수, ESS 개발 및 판매·유지·보수로 이어지는 자원순환형 사업 체계를 가동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 전략기술본부 지영조 부사장은 "ESS는 환경 오염의 확산, 에너지 수급 불안 등이 가중됨에 따라 신에너지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며 "현대차그룹과 ‘바르질라’의 협업은 재활용 배터리 ESS 신시장에서의 미래 성장 동력 발굴뿐만 아니라 전기차 보급 활성화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미 메이저 완성차 업체들은 주력 전기차의 중고 배터리를 기반으로 한 ESS 제품, 자체 구축 ESS 기반 서비스 개발 등 초기 사업성을 확인 중에 있다.

닛산은 자사의 전기차인 리프의 중고 배터리를 이용한 가정용 ·상업용 ESS 제품을 출시했다. 2016년 영국의 전력관리기업인 이튼 에너지와 협력해 가정용 ESS인 ‘X스토리지’를 제작해 판매하고 있다. X스토리지는 중고 닛산의 배터리 모듈 12개를 재가공해 제작된다.

BMW도 2016년 자사의 전기차인 i3의 배터리를 활용한 가정용·상업용 ESS 시장 진출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테슬라와 다임러도 지난 2015년 이미 재빠르게 시장에 진출했다.

현대차가 출사표를 내던졌지만 국내는 아직 전기차 시장도 선진국에 비해서는 걸음마 수준이다. 자연히 배터리를 재활용하는 재사용 사업 역시 갈길이 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안에 60억을 지원해 배터리 잔존가치를 등급별로 산정하고 합리적인 거래 기준을 마련하는 등 ‘ESS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을 펼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제주도 역시 폐배터리 재활용센터를 포함한 13만㎡(약 4만평) 규모의 ‘EV 타운’ 조성 계획을 구상하고 있다.

박수항 포스코경영연구원 연구원은 "국내 전기차 시장은 미국이나 중국 등 메이저 시장에 비해 더디게 성장하고 있어 7~10년 뒤 활용 가능한 배터리 유통이 미흡한 상황"이라며 "정부 주도의 시범 사업 참여 등으로 위험 부담을 최소화하고 시장 여건을 탐색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