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액화천연가스(LNG) 추진선박 시대가 본격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17일 오전 정부 서울청사에서 김동연 경제부총리 주재로 ‘제7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국내 최초 LNG 추진 외항선 발주계획 등을 포함한 ‘LNG 추진선박 연관 산업 활성화 방안’을 확정해 발표했다.
정부가 국내 LNG연료추진선 연관산업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기로 한 것은 국제 해양환경 규제를 해운·조선·항만 분야 간 상생 성장의 동력으로 전환하고 국민들의 건강과 안전까지 고려한 해운·조선정책의 대전환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다.
정부는 우선 공공·민간의 LNG 추진선 도입 등 시범 발주를 지원하고 폐선 보조금 확대, 국내연안 ECA 지정 타당성 검토 등을 추진한다. 현재 포스코·남동발전이 검토 중인 LNG 추진선 도입사업이 우선 지원 대상이다. 또한 미세먼지 배출이 많은 예인선을 대상으로 LNG 추진선으로의 전환을 유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LNG 추진선 관련 핵심기술개발, 국제표준화 지원 등을 강화하고 국내 친환경기자재 업체의 ‘운행실적(Track-Record)’ 확보를 지원하기 위한 실증 사업도 신규로 추진한다. 실증 사업은 이미 신뢰성이 확보된 기존 제품을 선호하는 선주에게 최초 탑재로 인한 위험부담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해 줄 전망이다.
LNG선박 사업 추진을 위한 법적 근거도 마련된다.
정부는 도시가스사업법에 ‘선박용 천연가스사업(가칭)’을 신설하고 선도적 인프라 투자를 통해 초기 LNG 벙커링 시장의 활성화를 유도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현재 한국가스공사가 통영 LNG기지에서 LNG 선적설비와 LNG수송선 건조 등 LNG 벙커링 인프라 사업에 대한 투자를 진행 중이다.
2016년 국제해사기구(IMO)가 황산화물(SOx) 규제를 3.5%에서 2020년까지 0.5%로 강화하는 방안을 확정한 뒤 LNG추진선은 꾸준히 증가해 왔다. 특히 최근에는 상선 분야에서도 LNG 추진선으로의 전환이 늘어나고 있다.
국제표준인증기관인 노르웨이 선급(DNV-GL)에 따르면 전 세계 LNG추진선은 2014년 68척에서 2015년 101척, 2016년 186척, 2018년 254척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LNG 추진선 중 컨테이너선·벌크선·탱커 등 일반상선의 비중은 13%(16척)에 불과한데 건조 중인 선박 포함 시 28%인 73척으로 대폭 증가할 전망이다.
현재 항만도시의 경우 대형 선박에서 배출되는 가스와 오염물질, 미세먼지 등으로 인해 대기오염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2016년 네이처 지는 부산항을 세계 10대 미세먼지 오염 항만으로 발표한 바 있다. 그럼에도 국내 선사들은 기존 대비 약 20% 높은 LNG 추진선 선가와 국내에 부족한 LNG 연료공급 체계 때문에 발주에 소극적이었던 상황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이인호 차관은 "앞으로 IMO 환경규제 대응과 항만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LNG 추진선 발주 확대는 반드시 필요하고 이는 조선·해양 분야 신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그 동안 LNG 추진선 연관산업 초기육성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제는 국민의 안전과 건강까지 고려한 조선·해운정책의 대전환을 뒷받침하기 위해 선제적 시장창출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