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최아름 기자

car@ekn.kr

최아름 기자기자 기사모음




공공택지지구 선정 단계부터 민간 전문가 참여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8.05.08 19:17
KakaoTalk_Moim_4z2XsO62U3TSimlCJ8HiiMzmqDc9aN

▲서울 내 아파트 건설 현장 (사진은 본 기사의 내용과 무관)(사진=최아름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최아름 기자] 새로운 공공택지지구 선정 단계부터 민간 전문가가 투입된다.

8일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신규 공공택지의 지구 개발 구상단계부터 관련 전문가를 참석시켜 지구 ‘콘셉트’를 마련하고 관리하는 UCP(Urban Concept Planner) 제도가 운용될 예정이다. 아직 UCP를 활용한 택지지구 선정은 이뤄지지 않았다. UCP 제도가 도입되면 도시 단위를 계획하는 민간 전문가가 신규 택지의 기본 방향부터 함께 결정하게 된다.

국토부는 지난해 11월 발표한 ‘주거복지 로드맵’에 따라 신규 공공택지지구를 개발 사업 타당성 검토 단계부터 스마트시티, 제로에너지 등 특화기술을 적용하거나 일자리 창출,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 등을 마련해 기존 주택지구와 다른 방식으로 조성한다. 공공택지지구 지정 이후 전문가가 개입하던 기존 MP(Master Planner)제도 대신 UCP 제도가 적용된다. 현재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인 세종 5-1생활권과 부산 에코델타시티는 MP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어 사업 대상지가 선정된 이후 이와 관련된 전문가가 투입됐다. 사실상 도시 계획을 이끌어나가는 민간 전문가인 MP와 무관하게 사업지 선정과 기본 개발 계획이 정해진 셈이다.

UCP 제도가 도입되는 공공택지지구의 기본 기능은 신혼과 청년을 위한 보육·육아, 복지·문화 콘텐츠가 반영된 특화단지가 될 예정이다. 여기에 스마트홈 네트워크, 친환경 에너지 등을 접목한 스마트시티 기술도 접목된다. LH는 이미 소유하고 있는 임대 아파트 단지에 태양광 발전 등을 적용해오고 있고 임대단지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홈 네트워크 구축을 검토하기도 했다.

국토부는 신혼희망타운을 수도권 인근에 보급하기 위해 신규 공공택지 40곳을 신규 개발하고 있으며 새롭게 추진되는 공공택지지구에서부터 UCP를 적용할 예정이다. 예상 후보지로는 서울 내 그린벨트 해제 지역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업계 전문가는 이 같은 결정에 대해 "그간 민간 전문가의 창의성을 접목하려는 시도가 많았으나 지금까지 정부에서 적극 활용하는 실제 예시가 없었다"며 "민간 차원의 전문성을 택지 개발에 적용하기 위해 실질적인 조치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