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석유공사 노동조합, 전국공공산업노동조합연맹 관계자들이 30일 서울중앙지법 앞에서 ‘이명박 정부 하베스트 인수비리 책임규명 촉구 및 손해배상 청구 국민소송 기자회견’을 열고 자원외교비리 관련 수사 등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연합) |
[에너지경제신문 김민준 기자] 한국석유공사 노조와 시민단체가 이명박 정부의 대표적 자원외교 비리로 꼽히는 캐나다 석유회사 하베스트 인수와 관련해 최경환 전 지식경제부 장관을 검찰에 고발했다.
참여연대·국민재산되찾기운동본부 등 9대 단체로 구성된 ‘MB자원외교 진상규명 국민모임’과 석유공사노조는 30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최 전 장관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상 배임 등 혐의로 검찰에 고발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최 전 장관에 대해 "석유개발 사업 업무를 지도·감독할 의무가 있는데도 하베스트 부실 인수를 지시 또는 승인했다"고 주장했다.
또 최 전 장관과 강영원 전 한국석유공사 사장을 상대로 손해배상 국민소송도 제기했다. 이들은 "최 전 장관은 보고를 통해 위험을 파악했음에도 인수를 지시했고, 강 전 사장은 손실 가능성을 예측했으면서도 이사회에 허위 보고를 했다"며 "이들이 국민의 기업인 한국석유공사에 5513억원에 달하는 천문학적 손실을 끼쳤고 이는 국민들에게 고스란히 전가되고 있다"고 소송 제기 이유를 밝혔다.
당사자인 한국석유공사에도 소송에 참여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인수 당시 하베스트의 가치를 부풀린 자문보고서를 작성한 메릴린치의 서울지사장이 ‘이명박 전 대통령 집사’로 불리는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의 아들이었다고도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전 대통령이 정권 차원에서 자원외교로 브랜드화한 사업을 통해 자원 공기업의 해외자원개발을 진두지휘한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인데도 이 전 대통령은 하베스트 인수와 관련해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며 "이 전 대통령에 대해서도 강력한 검찰 수사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