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6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한상희 기자

hsh@ekn.kr

한상희 기자기자 기사모음




[에너지 View] 2018년 글로벌 태양광 시장 11가지 관전포인트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8.01.02 07:31



탈원전 탈석탄 흐름의 대안책으로 제시되는 지붕 태양광 산업. 올해는 태양광 시장에서 ‘빅뱅’이 일어날까?

상황은 상당히 복잡하다. 파리기후협정 이후 국제사회의 모멘텀은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흘러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인도 등 주요국들은 석탄에서 벗어나 재생에너지를 확산하는 정책을 강력하게 펴고 있다. 다만 변수는 미국이다. 경제대국 1위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정부는 기후변화를 사기라 부정하며, 화석연료 중심의 정책을 펴고 있다. 내년도 예산안에서 보조금을 줄인 것은 아니지만 언제 삭감될 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시장 내부도 좋지 않다. 중국산 태양광 패널의 저가공세로 수년째 공급과잉에 시달리고 있는 탓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드앤맥킨지에서 운영하는 신재생에너지 조사기관 ‘GTM 리서치(GTM Research)’는 2018년 태양광 산업을 전망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GTM은 각국의 정책 등 정치적 요인보다는 시장 내부의 수급 상황과 기술 발달에 주목하며 에너지정장치(ESS)와 연결지었다. 공급불안정성이 뚜렷한 태양광 발전은 배터리 저장 기술이 빠르게 발달함에 따라 ESS와 결합하는 양상을 띄기 때문이다.


1. 미국 태양전지 업계 내년에도 회복 어려울 듯

차세대 고효율 태양전지를 양산하기 위해선 수십억 달러의 자금을 장기적으로 투입해야 한다. 트럼프 정부의 태양광 산업 정책이 바로 서지 않는다면, 배터리와 패널, 관련 부품 산업도 회복불가능하다. 안타깝게도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는 태양광 산업을 뒷받침할 만큼 충분한 금액이 편성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2. 태양광 패널 공급부족, 2분기까지 해소되지 않을 전망

태양광 패널에 대한 보조금이 중단될 것이라는 우려에 수요가 쪼그라들면서 시장은 공급과잉에 시달리는 모양새다. 완제품을 생산해 선박이 항구에 운반되기까지는 한 달의 시간이 소요된다. 패널을 실은 컨테이너 박스들이 전세계로 수출되기까지는 그만큼의 시간이 더 걸린다. 태양광 패널의 재고가 소진되지 않으면 선박업체부터 태양광 업체까지 수익이 급감한다.


3. 태양광 발전 시스템 모니터링서 와이어 사라진다

셀 형태의 클라우드 기반 방식은 옥상 태양광을 모니터링하는 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숙련된 태양광 패널 계약자들은 이더넷-와이파이-직비 등 컴퓨터 네트워킹 기술을 사용해 모니터링 하는 쪽보다 초기투자비용 수백 달러를 투자해 태양광 셀을 설치하는 편이 훨씬 저렴한 것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반드시 모니터링을 해야 하는 소비자들 입장에서도 홈 네트워크 접속 장애로 인한 리스크를 방지할 수 있어 유리하다는 평가다.


4. 기준치 이하 가정용 옥상 태양광 패널, 발 못 붙인다

당국이 올해부터 태양광 패널에 대한 본격적인 옥석가리기에 나서면서, 품질이 떨어지는 태양광 패널은 미국 전력인증기관인 NEC(National Electrical Code)로부터 철퇴를 맞을 전망이다. NEC에 따른 기준에는 △모듈 수준의 전력전자장치 △추가적인 스트링-레벨 급속 셧다운 박스, 두 가지 해결책만이 있다. 급속 셧다운 박스를 설치하면 계약자들은 모듈과 함께 마이크로인버터나 옵티마이저를 설치하는 편이 비용 면에서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이는 선 연결 형태의 인버터를 제조하는 기업들의 점유율에 직격탄을 가할 것으로 보인다.


5. 유틸리티 규모 태양광, 한계 뛰어넘는다

전력회사들은 월간 고정 전기요금을 계속해서 올릴 것이고, 개인 소비자와 정부나 기업 등 대형 소비자 간 전력요금 차이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태양광 발전량이 최대치에 달했을 때 맞춰 피크타임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군데를 때리면 다른 데서 또 튀어나오는 ‘두더지 잡기 게임(whack-a-mole game)’ 같은 기술에서 소비자들은 사용가능한 전력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자신만의 ESS를 설치하게 될 확률이 크다.


6. ‘스마트 홈’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올해도 ‘먹구름’

몇 년 전부터 언론에 자주 오르내리는 ‘스마트홈’은 가전제품(TV, 에어컨, 냉장고 등)을 비롯해 에너지 소비장치(수도, 전기, 냉난방 등), 보안기기(도어록, 감시카메라 등)를 통신망으로 연결해 모니터링,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다.

4차산업혁명의 중심으로 주목을 받았으나, 성적은 시원치 않다. 설치비용이 만만치 않은데다, 경제적 가치도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올해 전망도 밝지 않다. 새롭게 건설하는 아파트에 관련 기술을 적용하는 방식은 잠재력이 크지만, 이미 존재하는 전력 패널에 장치를 연결하는 것은 상당히 비싸고, 숙련된 기술자의 작업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반면, 태양광, 에너지 저장, 케이블, 보안 시스템 등을 스마트홈 시스템에 연결시킬 경우 전력을 직접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합리적인 선택지가 된다는 게 GTM의 설명이다.


7. 급감하는 ESS 비용

내년에도 배터리 가격 하락세는 이어지겠지만, 당분간 에너지저장장치(ESS) 가격은 정체 상태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됐다. 계약 당사자들이 옥상태양광을 설치하는 데 추가적인 통합 작업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한 탓이다. 게다가 배터리 비용에는 인센티브 처리에 대한 서류 비용은 말할 것도 없고, 추가적인 설계, 허가, 소프트웨어, 교육, 구성 등 시스템 설치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비용을 포함하지 않는다.


8. ‘옥상 태양광+ESS’ 통합의 중요성 증가

가장 성공적인 주거용 ESS의 운영방식은 구성요소를 한 데 묶어 패키지화하고, 소비자들에게 사용하기 쉬운 소프트웨어를 제공해 설치 작업을 간소화하는 것이다.

몇몇 기업들은 이 사실을 잡아내 적용하고 있으나, 대다수의 기업들은 각기 다른 업체들의 부품들을 마구잡이로 통합한 채로 모든 소프트웨어와 펌웨어가 제대로 작동하기만을 기다리는 어리석은 행태를 취하고 있다고 GTM은 비판했다.


9. 맑을 때만 태양광? 백업전원의 중요성

재생에너지가 대안으로 부상하면서 공급안정성이 전력시장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태양이 있을 때, 바람이 불 때만 전력생산이 가능한 ‘간헐성’이 재생에너지의 최대 한계점으로 지적되기 때문이다.

태양광 발전의 공급차질 문제는 대부분 이상기후와 장비 차질로 인해 그리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발생한다. 기업 등 상업용과 주거용 소비자 모두 백업 전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특히, 백업 생산용량이 갖춰지지 않은 ESS는 시장에서 살아남기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


10. 리튬 부족 사태

태양광 발전에 필수 부품인 리튬배터리. 전기차와 주로 연관해 언급되지만, 태양광 발전은 ESS와 연계돼 가동해야 하는 만큼, 필수적으료 요구되는 핵심 부품 중 하나다.

리튬 부족은 지난 2004년에서 2007년 사이 나타났던 실리콘 부족 사태와 지난 수십 년간의 메모리칩 부문에서 일어난 ‘붐앤버스트(boom and bust)’와 비슷한 양상을 띌 것으로 전망된다. 전기차 시장이 본격 개화(開花)하는 시점에 도달하면, 많은 자동차 제조기업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배터리를 주문할 것이고, 이는 리튬 공급에 갑작스런 충격을 가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리튬 공급자들이 상품 구입자가 일정 기간, 일정량의 상품을 인도받지 않더라도 대금을 지불해야 하는 ‘의무 인수 계약’을 요구하게 되면서, 리튬과 리튬배터리의 가격이 폭등할 것으로 관측됐다. 코발트 시장은 더 깊은 공급부족 사태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11. 트럼프 등에 업은 ‘와일드 카드’ 석탄이 변수

적극적인 탈석탄 정책을 시행 중인 우리나라와는 달리, 석탄산업 부흥을 기치로 내건 트럼프 정부가 태양광 시장의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미 에너지부는 탄소 포집 및 저장 프로토타입 계획을 환경보호청(EPA)에 제출하고, 승인을 앞둔 상태다. 이는 태양광업계의 최대 경쟁자인 석탄산업의 생명줄을 수년이나마 연장시킬 것으로 보인다.


12. 한국 태양광 시장은? 정부 정책 수혜+사드 봉합

수년 간 중국산 저가 패널의 가격 공세, 반덤핑 관세 등으로 난관을 겪은 한국 태양광 업계는 일단 새해엔 한숨을 돌릴 수 있을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을 계기로 사드 갈등은 일단 봉합되면서 OCI와 한화케미칼이 중국의 태양광 폴리실리콘 반덤핑 관세 강화의 통상압박을 피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13일 태양광업계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지난달 21일 한국산 폴리실리콘에 대한 반덤핑 재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관세율을 기존 2.4∼48.7%에서 4.4∼113.8%로 조정했다.

중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 조치로 한국산 폴리실리콘에 ‘관세 폭탄’을 던질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한 자릿 수 대 반덤핑 관세율를 책정하며 부담을 던 것이다.

태양광 업계 관계자는 "중국 기업이 주로 수입하는 고순도 폴리실리콘은 공급처가 한국과 독일 등으로 한정돼 있다 보니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관련 기업들이 조사에 성실하게 응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국발 악재에서 벗어난 OCI와 한화케미칼은 4분기 실적 전망도 밝다. 최근 중국 웨이퍼 업체들의 증설로 폴리실리콘 수요가 늘면서 우호적인 시장상황이 지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태양광 시장조사업체 PV인사이트에 따르면 12월 첫 째 주 고순도 폴리실리콘 가격은 kg당 16.97달러로, 전주보다 0.89% 올랐다. 분기 평균 가격도 3분기 15.4달러에서 4분기 현재 16.7달러로 올라 두 회사는 전 분기보다 영업이익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탈석탄, 탈원전에 힘을 쏟고 있는 정부의 에너지정책 역시 호재다.

지난 20일 산업통상자원부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로 늘리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내놨다. 총 92조원을 들여 신규 원전 35기에 맞먹는 48.7GW 규모의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설비를 확충한다는 내용이다.

이에 대해 한국신용평가 정익수 연구원은 ‘통상압력에 직면한 국내 태양광 선도업체 OCI와 한화큐셀의 강점과 위협요소’ 보고서에서 "최근 자원고갈 및 환경문제로 신재생에너지가 부각되고 있어 중단기적으로 태양광 수요의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전기요금 인상 등 에너지 전환 정책에 대한 논란은 뜨겁지만 성장에 디딤돌 역할을 할 것이란 분석이다.

정 애널리스트는 "미국, 일본 등 주요 태양광 설치국들의 성장은 둔화되고 있으나, 신흥국들의 가파른 성장으로 향후 지역별 판도변화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에너지경제신문 한상희 기자]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