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앙대학교 전경. (사진=에너지경제신문DB) |
중앙대학교 교수협의회가 김창수 중앙대 총장에 대한 불신임 투표를 실시하기로 했다.
14일 중앙대 교수협의회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광명병원 건립 계획 ▲건축 부채의 학생들 전가 상황 ▲대학 순위 조작에 대한 무책임 ▲대학 순위 사태로 인한 자체보고서 누락 등에 대해 총장이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중앙대는 영국의 대학평가 기관 QS 대학평가와 관련해 졸업생 평판 부분을 조작했다가 적발돼 ‘순위권 제외’ 판정을 받았고 평가를 조작한 대학 교직원 2명에게 감봉 3개월의 징계를 내렸다.
지난 7월 발표된 교수·직원·학생·동문·대학 대표로 구성된 QS진상조사위원회의 ‘QS사태에 대한 진상조사 결과보고서’를 보면 QS 대학평가와 관련해 대학 평가팀과 중앙대 기획처, 국제처, 정보통신처, 행정부총장, 총장을 면담한 결과 3월 대학 평가를 허위로 작성한 것을 중앙대 측이 최초로 인지했으며 김창수 총장은 5월 보고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 |
▲중앙대학교 QS진상조사위원회가 지난 7월 발표한 QS 대학평가 진상조사 결과 보고서를 보면 김창수 중앙대 총장은 대학평가 과정에서 불법적인 행위를 지난 5월 보고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자료=중앙대 교수협의회) |
QS진상조사위는 QS 대학평가의 평가지표가 실무차원의 관행으로 중앙대 측이 일정부분 대리입력 방식으로 인위적으로 상향조정 작업을 수행했으며 부정행위가 발생함에도 준법감시 기능이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냈다.
이에 대학 측에게 대학평가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해 중앙대 구성원에게 공지할 것을 대학 측에 제언했다.
중앙대 교협 측은 "김창수 총장은 대학 순위 조작과 관련해 본부 조사위의 ‘결과보고서’마저 은폐하고 조사가 대학법인으로 확대되는 것을 막고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또 광명병원 건축시 부담해야할 1600억원의 부채문제를 모두 학생들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 "법인과 학교본부, 교수협의회 간의 소통 창구인 ‘대표자회의’를 인정하지 않아 본부와 학교구성원간의 소통이 단절됐다"며 "지난해 2월 김창수 총장의 임기중에 평교수들이 객관적 평가 절차를 진행하기로 약속해 법인의 책임을 묻는 단계가 총장의 책임을 묻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QS진상조사위원회의 비공개 ‘결과보고서’를 보면 대학 순위 사태가 대학 본부의 ‘조직적 압박’이 있었다는 의혹이 드러났고 행정보직자, 총장, 법인 이사장에 대한 추가 조사가 필수적임이 확인됐음에도 이 총장은 ‘결과보고서’조차 은폐했다"며 "중앙대가 대외적 신뢰를 회복하기 어렵게 됐다"고 했다.
방효원 중앙대학교 교수협의회 회장은 "중앙대의 일련의 사태가 법인이 일방적으로 총장을 지명하는 제도로부터 비롯되고 있다"며 "총장이 법인의 눈치만 본 대학행정의 결과에 대한 냉정한 평가가 우선돼야 해 총장의 불신임 투표를 시행하게 됐다"고 말했다.
김창수 총장의 불신임 투표는 내달 4일부터 10일까지로 교수협의회 회비를 납부하는 중앙대 교수들을 대상으로 실시되며 불신임 투표의 결과는 내달 11일 발표된다.
[에너지경제신문 복현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