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6일 오후 경기도 남양주시의 한 농장에서 방역당국이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계란을 폐기하고 있다. (사진=연합) |
유럽에서 촉발된 살충제 계란의 공포가 세계로 확산되며 비상이 걸렸다. 식용 가축에 사용이 금지된 살충제에 오염된 계란이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19개국에서 유통되거나 유통될 뻔한 것으로 확인된 가운데, 각국 정부는 ‘살충제 계란’ 파장을 막기 위해 총력을 다하는 모습이다.
특히 각국 정부는 이번 사안이 국민의 건강과 직결된 만큼 보건 인력을 총동원해 살충제 계란의 생산·유통·판매망을 샅샅이 점검하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현재까지 살충제 피프로닐 성분이 검출된 계란이나 계란으로 만든 제품이 유통되거나 유통 직전 발견된 국가는 한국과 홍콩 등 아시아 2개국과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 등 유럽 17개국을 포함한 19개국이다.
피프로닐은 동물에게서 벼룩이나 이, 진드기 등을 제거하는 데 쓰이는 살충제로, 세계보건기구(WTO)는 이를 대량 섭취할 경우 신장이나, 간, 갑상샘에 해를 끼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유럽에서는 살충제 계란 수출국인 벨기에와 네덜란드, 독일을 제외하고도 스웨덴,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덴마크, 스위스 등에서 오염된 계란이 유통된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에 최근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에서도 마요네즈와 제빵 제품 등에서 피프로닐 성분이 검출됐다.
각국 정부는 필수식품인 계란이 살충제에 오염돼 국민의 식생활과 공중보건이 위험에 처할 수 있는 만큼 살충제 계란의 유통과 판매를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중 가장 강력한 조처를 취한 국가는 유럽 내 살충제 계란 파문의 진원지로 추정되는 네덜란드와 벨기에다.
유럽에서는 지난달 19일 벨기에가 처음으로 EU에 피프로닐 오염 계란의 존재를 신고하면서 살충제 계란 공포가 시작됐다.
축산강국인 네덜란드와 벨기에는 이번에 유통이 확인된 국가를 포함해 유럽 전역에 계란을 수출하고 있다.
네덜란드는 현재까지 전국 180개 산란계 농장을 폐쇄했고, 벨기에 농장의 25%가량도 문을 닫았다. 또 자국내 마트 4천여 곳에서 계란을 일제히 회수해 폐기했고, 피프로닐에 오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산란계 100만 마리도 살처분했다.
이들 국가는 EU가 식용 가축에 대한 사용을 금지한 살충제를 닭 농장 방역작업에 사용한 것은 범죄행위라는 인식 아래 관련자에 대한 강력한 형사 처벌을 예고했다.
이를 위해 네덜란드와 벨기에 사법당국은 지난 10일부터 살충제 계란 생산·유통 과정을 규명하고, 관련자들을 처벌하기 위한 수사에 공동으로 착수했다.
양국 경찰은 피프로닐 오염 계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8곳에 대한 긴급 압수수색을 벌였고, 이 살충제를 사용해 닭 농장 방역작업을 벌인 방역업체 ‘칙프렌드’의 간부 2명도 긴급 체포했다. 또 살충제 계란 파문이 유럽 전역으로 확산한 만큼 EU 경찰기구인 유로폴과 EU 검찰기구인 ‘유로저스트’의 도움을 받아 공조수사를 벌이고 있다.
하지만 피프로닐 계란이 처음 검출된 벨기에가 이러한 사실을 주변국에 즉각 알리지 않아 사태가 확산한 데 대해서는 유럽 전역에서 비난이 잦아들지 않고 있다.
![]() |
▲16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의 계란 판매대가 다른 제품들로 채워져 있다. (사진=연합) |
다른 유럽 국가들도 네덜란드와 벨기에에서 수입된 계란을 전수조사해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계란을 전량 폐기하고 있다.
독일 정부는 자국이 수입하고, 유통한 계란과 관련 제품에 대해 전수조사에 나선 가운데 독일계 슈퍼마켓 체인인 알디는 네덜란드와 벨기에에서 수입한 계란 300만개를 폐기했다. 이에 더해 살충제 계란이 담긴 계란판의 일련번호를 신문에 게재해 소비자들이 확인하고 살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영국 식품안전국(FSA)도 영국에 수입된 살충제 계란의 수량을 70만개로 추정하고 전수조사에 나섰다. FSA는 영국에서는 살충제 계란이 직접 유통된 것보다는 샌드위치 등 다른 냉장식품의 재료로 사용된 것이 많다며 오염된 계란을 재료로 쓴 냉장식품을 일제히 수거했다. 아울러 계란이 사용된 냉장식품과 판매처 명단도 공개했다.
다른 국가보다 살충제 계란을 뒤늦게 확인한 헝가리 식품안전처도 독일의 한 식품회사에서 오염된 계란이 들어간 냉동제품을 수입해 판매하던 업체에 제품을 모두 회수하라고 지시했다.
회원국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은 EU 집행위원회도 다음 달 비상회의를 소집해 살충제 계란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편, 한국에서는 피프로닐이 경기도 남양주의 한 산란계 농장 계란에서 검출되자 전국 대형마트와 편의점, 온라인몰 등에서 일제히 계란 판매를 중단됐고,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전수조사에 나섰다.
문재인 대통령은 16일 ‘살충제 계란’ 파동과 관련, "총리가 범정부적으로 종합 관리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수조사 결과를 국민에게 소상히 알리고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해달라"고 강력대응을 지시했다.
[에너지경제신문 한상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