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안희민 기자

ahm@ekn.kr

안희민 기자기자 기사모음




[G밸리 전기차 세미나] 이규제 "사통팔달 G밸리, 제2 서귀포"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7.02.17 22:31
[G밸리 전기차 세미나] 이규제 "사통팔달 G밸리, 제2 서귀포"

에너지경제신문이 17일 서울 구로구 베스트웨스턴프리미어 구로호텔에서 ‘제2회 G밸리 전기차와 스마트 그린시티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선 서울 금천구와 구로구 일대 G밸리가 전기차 중심의 스마트 그린시티로 발돋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산·학·연이 머리를 맞댔다.

이번 세미나에서 발제된 내용은 서울시 전기차(EV) 보급 현황 및 계획(정미선 서울시 대기관리과 과장)을 비롯해 전기차 현황과 발전방향(이항구 산업연구원(KIET) 선임연구위원), G밸리 전기차 보급 확대 방안과 전략(김필수 한국전기차협회 회장), G밸리 교통체계(황상규 한국교통연구원 박사), EV충전 인프라현황 발전 방향(이규제 포스코ICT 부장), G밸리 G드라이브 현황 및 현안(이재우 G밸리 카쉐어링 협동조합 회장) 등이다. -편집자 주

이규제

▲이규제 포스코ICT 부장이 EV 충전 인프라 현황과 발전 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안희민 기자] G밸리는 서귀포에 버금가는 전기차 실증단지가 될 수 있다. 4만이 상주하고 유동인구까지 합하면 17만명이 오간다. 접근성도 좋다. 이규제 포스코ICT 부장에 따르면 접근성이 좋다는 의미는 전기차 이용자가 충전인프라를 좋고 값싸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그가 이끄는 포스코ICT 전기차충전사업부는 ‘이마트’에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했다.

더구나 2016년 보급된 전기차는 1만528대이고, 누적 합계로는 8만5000대가 됐다. 이 부장은 "전기차가 최소 5만대 이상이면 전기차가 친환경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를 잡을 수 있고, 그 사업을 이제 시작할 때가 됐다"고 주장했다. 이는 전기차가 친환경 비즈니스 모델이 되려면 보급 대수가 전체 차량의 1%에 육박해야 한다는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충전인프라가 많지 않으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앱)을 개발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그는 전기차만 생산할 뿐 충전인프라를 공급하지 않는 전기차 완성차 제조사의 행태를 비판했다. 그는 이어 "공공인프라, 비상용 또한 내가 결제하거나 관제하는 편리성 중 하나"인데 "(전기차 충전 앱 개발) 사업이 활성화되고 있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에 따르면 포스코ICT는 생활현장에 전기차 충전설비를 설치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전기차 구입자에게 번들로 주는 전기차 충전기는 사실 시장에서 의미가 없다. 혼자만 사용하기 때문이다. 포스코ICT는 결국 한국 전기차의 47%가 모여있다는 제주로 날아가 제주전기차 서비스를 시행했다. 스마트폰으로 전기차 정보를 제공했다. 그는 이런 경험이 G밸리에 전기차 서비스를 안착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기차 충전 서비스 관련 모범사례로 그는 일본을 들었다. 일본은 계획성 있게 전기차충전 서비스를 개발했다. "일본은 한국과 달리 사전에 계획을 수립해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문기관에서 전기차 충전기와 전기차 보조금을 내주며 전기차 완제품 제조사가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생각으로 부족한 기금을 메운다."

그 덕에 일본은 충전인프라에 필요한 망(network)을 확보했다. 그는 일관성 있는 보조금 정책과 잘 구비된 망을 바탕으로 각자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시민에 제공하고 있다고 일본을 소개하고 부러워했다. 유럽과 노르웨이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그는 "콘트롤 타워가 있으면 일관적으로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정책을 수립할 수 있고 (필요한 기반시설을) 공유할 수 있다"며 "한국 현실에 맞게 기술과 기능에 컨트롤 센터를 화두 삼아 계획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G밸리에서 다양한 성공모델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제주도는 섬이기 때문에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아무리 많이 확충해도 한계가 있다"며 "서울시도 사통팔달로 뻗어나갈 수 있는 길이 다양한 G밸리가 성공하면 전기차 관련 사업 모델을 다양하게 만들어 낼 수 있다"며 "일단 성공 모델 창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